탄산수 vs 정수기… 냉장고 ‘물전쟁’

탄산수 vs 정수기… 냉장고 ‘물전쟁’

입력 2013-10-02 00:00
업데이트 2013-10-02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LG전자 선공…삼성전자 반격

가전 업계에서 치열한 선두 경쟁을 벌이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때아닌 ‘물맛 경쟁’에 나섰다. 지난 8월 LG전자가 정수기 기능을 탑재한 냉장고를 선보이자 삼성전자가 탄산수(스파클링 워터)가 나오는 냉장고를 국내에 선보이며 맞불을 놓은 것이다.

삼성전자의 모델들이 1일 서울 강남구의 한 행사장에서 열린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신제품인 ‘지펠 스파클링 냉장고’를 선보이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모델들이 1일 서울 강남구의 한 행사장에서 열린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신제품인 ‘지펠 스파클링 냉장고’를 선보이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1일 서울 강남에서 미디어데이 행사를 열고 신제품 ‘지펠 스파클링 냉장고’를 선보였다. 새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버튼만 누르면 정수한 물을 바로 탄산수로 바꿔 준다는 점이다. 취향에 따라 탄산수의 농도도 연한맛(3g/ℓ)·중간맛(5g/ℓ)·강한맛(7g/ℓ) 등 3가지로 선택할 수 있다. 가정용 탄산수 제조기 분야의 세계 1위인 이스라엘의 소다스트림사의 탄산가스 실린더를 구입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치도 간편하다. 2만 4000원짜리 가스 실린더 1개를 넣으면 탄산수를 최대 74ℓ가량 만들 수 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LG전자의 정수기 냉장고를 겨냥한 듯 제품에 정수 필터도 탑재했다. 6개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정수 필터(1개)는 국내 정수 품질 인증마크인 ‘물마크’를 획득했고, 식품 안전을 관리하는 미국 기관 NSF(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로부터 정수 성능을 인증받았다.

사실 탄산수는 국내보다는 유럽과 북·중미 등에서 인기 있는 음료다. 삼성전자가 지난 7월 미국시장을 먼저 공략한 이유이기도 하다. 해당 제품은 현지에서 주당 1000대씩 팔릴 만큼 인기가 높다. 이런 초기 판매실적과 탄산수 시장의 확장 가능성이 이른 국내 출시를 결심케 했다. 실제 최근 국내 여성들을 중심으로 탄산수가 소화 촉진, 얼굴 각질 제거, 식재료의 냄새 제거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관련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음식재료 특성에 따라 온도를 4단계로 설정하는 전문 보관실도 갖췄다. 냉장실 전체를 위에 두는 프렌치도어타입(4도어) 스타일로 냉장고 용량은 790ℓ, 가격은 443만원이다.

반면 앞서 출시된 LG전자의 냉장고는 삼성전자와 달리 정수기 기능에 방점을 찍었다. 과거 불충분한 정수 능력과 낮은 전기효율 때문에 시장에서 조용히 사라진 ‘디스펜서(물 나오는) 냉장고’를 몇 단계 진화시켰다는 평이다. LG전자는 자사의 제품은 3단계 안심필터와 스테인리스 저수 탱크가 탑재된 만큼 별도의 정수기가 전혀 필요 없다는 입장이다. 일반 정수기처럼 두 달에 한 번 위생 관리를 받을 수 있다. 고효율 단열재로 내부 공간을 늘려 냉장고 자체 용량은 855ℓ를 유지했다. 출고 가격은 340만∼400만원이다. 정수기 관리 비용은 월 1만 8900원이다. 때아닌 물맛 대결을 벌이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공통적으로 생활가전 부문 글로벌 선두 업체다. 업계 관계자는 “까다로운 국내 소비자가 탄산수를 선택할지 3단 필터의 정수 기능을 택할지는 2~3개월 정도 지켜봐야 알 것”이라면서 “신제품의 국내 승패 여부는 양사의 자존심이 걸린 문제”라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10-02 2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