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47% 실시계획 미수립…구조조정 위기

경제자유구역 47% 실시계획 미수립…구조조정 위기

입력 2013-10-07 00:00
업데이트 2013-10-07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영식 의원실 “외국인 투자유치 63% 인천에 몰려”

전국 8개 경제자유구역(FEZ·경자구역)의 98개 단위개발사업지구 중 사업성이 불투명해 개발을 위한 실시계획이 수립되지 못한 곳이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오영식(민주당)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98개 경자구역 단위지구 중 개발 완료된 지구는 19개(19.4%), 개발 진행 중인 지구는 33개(33.7%)였으나 가장 많은 46개(46.9%)는 실시계획 미수립 지구로 분류됐다.

특히 황해·동해안권 경자구역은 각 4개의 단위지구가 전부 실시계획 미수립 지구였으며, 새만금 군산 경자구역도 6개 단위지구 중 5곳의 실시계획이 세워지지 않은 상태다.

가장 개발이 활발한 인천 경자구역조차도 27개 단위지구 중 9곳에는 실시계획이 수립되지 못했다.

실시계획 미수립 사유로는 경기 침체와 부동산 경기 둔화에 따른 사업성 악화가 가장 큰 것으로 지적됐다.

28개 지구는 아파트·상가 등 미분양이 심각해 사업 시행자 발굴에 애로를 겪고 있고, 5개 지구는 실시계획 수립 지연으로 이미 개발을 포기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행법상으로는 경자구역 지정 고시 후 3년 이내에 개발사업 시행자가 지자체에 실시계획 승인을 신청하지 못할 경우 지정 해제하는 것으로 돼 있다.

따라서 전체 경자구역 중 거의 절반이 개발지연으로 구조조정 위기에 처한 셈이다.

정부는 2011년부터 경자구역 구조조정에 착수했으며 지난 8월 개발이 부진한 황해 한중지구 등 3개 지구를 지정 해제했다.

2003년부터 최근까지 순차적으로 지정된 경자구역은 2020년까지 개발을 완료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지만, 전체 개발률은 60%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경자구역의 외국인 직접투자유치(FDI) 실적도 구역별로 편차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2004년 이후 10년간 투자유치액 77억7천만달러 중 63.4%인 49억3천만달러가 인천 경자구역에 집중됐다.

이어 부산·진해 경자구역이 12억4천만달러(15.9%)였고 광양만권 경자구역이 8억5천만달러(10.9%), 새만금군산 경자구역이 6억2천만달러(7.9%)였다.

그러나 나머지 경자구역은 대구·경북 1.4%를 비롯해 대부분 투자유치액 비중이 1% 안팎이거나 0%대에 머물러 극히 미미한 수준이었다.

오영식 의원은 “경자구역 외국인 투자유치를 사실상 인천이 독식하는 반면 다른 구역에 대한 투자는 극도로 부진해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