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가계 소비여력 2002년에 바닥났다”

금융硏 “가계 소비여력 2002년에 바닥났다”

입력 2013-10-13 00:00
업데이트 2013-10-13 1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계가 건전하게 소비를 충당할 수 있는 능력이 10여년 전에 이미 바닥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3일 ‘한국 가계의 소득, 소비, 저축 및 부채의 추이와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한국경제는 가계저축·가계부채란 소비여력을 1999~2002년 사실상 소진해 오늘날의 열악한 소비환경이 형성됐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전인 1982~1997년엔 연평균 민간소비 증가율(14.9%)과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증가율(15.7%)이 비슷했다. 그러나 외환위기 직후인 1999~2002년엔 민간소비 증가율(12.9%)이 소득 증가율(5.6%)을 월등히 뛰어넘는 시기가 이어졌다. 가계가 벌이보다 더 많은 소비를 계속한 것이다.

박 연구위원은 “외환위기로 소득증가가 급락한 탓에 이 차이는 결국 가계저축 하락과 가계부채 증가에 의해 충당됐다”며 “2002년 가계 순저축률이 0.4%까지 내려가 저축을 더는 줄일 수 없게 되자 2003년부터 가계부채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실제로 2003년 이후 한국경제에 다양한 부정적 현상이 드러나기 시작했다고 봤다. 높은 가계부채, 낮은 가계저축, 내수부진, 경제활력 둔화 등이 현재까지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는 모두 가계가 소비여력을 잃은 데서 시작했단 것이다.

그는 “한국 소비자들은 저축과 가계부채란 완충장치를 소진하며 원리금 부담이 소비지출을 제약하는 단계로 들어섰다”며 “앞으로 충분한 가계소득 개선이 없는 한 저축감소·부채증가로는 의미 있는 소비활성화가 어렵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