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실업률 2.7% 사상 최저

9월 실업률 2.7% 사상 최저

입력 2013-10-17 00:00
업데이트 2013-10-17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성·중장년 고용정책 효과

지난달 실업률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성과 장년·노년층을 경제활동인구로 만들어 일자리를 갖도록 하는 정부의 정책이 효과를 거두었다는 평가다. 하지만 정부가 정책목표인 고용률 70%에 도달하려면 청년층 취업을 높이는 큰 숙제가 남아 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실업률은 2.7%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99년 6월 이후 가장 낮다. 미국(7.3%), 일본(4.1%), 독일(5.0%), 프랑스(10.9%) 등 선진국과 비교해도 낮은 수치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에 참여한 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이다. 공미숙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실업률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 인구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지만 실업에 대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중요 지표”라면서 “실업률의 최저 수준 기록은 비경제활동이었던 여성과 노인층을 취업하도록 유도한 정부 정책의 효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9월 고용률(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의 비율)의 경우 여성이 49.8%로 지난해 9월에 비해 0.7% 포인트 증가한 반면 남성은 0.1% 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연령대별로 50대 고용률이 1.1% 포인트로 가장 많이 높아졌고, 60세 이상이 0.7% 포인트 늘어 뒤를 이었다. 정부는 여성과 장년·노년층의 취업을 위해 ‘반듯한 시간제 일자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9월 전체 고용률은 60.4%로 지난해 9월보다 0.4% 포인트 늘었다.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의 기준으로 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고용률(15~64세)은 65%로 지난해 9월보다 0.5% 포인트 올랐다. 지난 2월 62.7%에서 빠르게 올라 6월과 7월 65.1%로 최고 수준을 기록한 이후 상승세가 멈추었다. 청년 고용이 뒷받침되지 않고는 고용률 70% 달성은 힘들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달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7%로 지난해 9월 실업률(6.7%)보다 1% 포인트 올랐다. 20대 고용률은 57.3%로 지난해 9월보다 0.3% 포인트 떨어졌다. 연령대별로 볼 때 유일하게 감소세다. 그나마 20대 취업자가 지난해 9월보다 3만 2000명 늘어 1년 5개월 만에 반전한 게 위안이다.

지난달 전체 취업자는 2546만 6000명으로 지난해 9월보다 46만 3000명 증가했다. 증가 인원은 지난해 9월(68만 5000명) 이후 1년 만에 가장 많았다.

세종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3-10-17 2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