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소비여력이 3∼4인가구보다 크다”

“1인가구 소비여력이 3∼4인가구보다 크다”

입력 2013-10-17 00:00
업데이트 2013-10-17 09: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상의 조사 결과…소비키워드는 S·O·L·O

1인가구의 소비여력이 3∼4인가구보다 더 크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인가구 250가구, 3∼4인가구 25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인가구의 월가처분소득 평균은 32.9%로 3∼4인가구의 17.2%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았다고 17일 밝혔다.

금액으로 봐도 1인가구의 월가처분소득은 80만5천원, 3∼4인가구 73만5천원으로 나타났다.

월주거비용은 3∼4인가구(55만5천원)가 1인가구(40만6천원)보다 월평균 15만원 가량 더 많았다.

그러나 월수입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인가구(27.8%)가 3∼4인가구(18.5%)보다 9.3% 포인트 더 높았다.

대한상의는 높은 주거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1인가구는 양육이나 가족부양 부담에서 자유로운 까닭에 소비여력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1인가구들의 소비행동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소비키워드를 ‘S.O.L.O’로 정의했다. 자기(Self)와 온라인(Online), 저가(Low Pirce), 편리성(One-stop)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먼저 1인가구의 증가는 ‘나를 위한 소비’를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됐다.

1인가구에 지출을 늘릴 항목을 물은 결과 여행(41.6%), 자기계발(36.0%), 레저·여가(32.8%), 건강(32.0%), 취미(26.0%) 순으로 나타났다. 지출을 줄일 항목으로는 외식(39.2%), 통신비(33.6%), 의류·패션(16.4%), 식품(16.0%)을 들었다.

1인가구 증가는 온라인(Online)의 영향력을 한층 더 높여줄 것으로 전망됐다.

품목별 구입처를 조사한 결과 인터넷을 통한 구매는 패션·의류(63.6%), 가전(53.2%), 신발·구두(52.8%), 화장품(52.0%) 등의 품목에서 절반이 넘었다. 가정·생활용품도 41.6%에 이르렀다.

1인가구는 저렴한 제품의 소비를 촉진시킬 것으로 전망됐다.

세일기간을 기다리는지를 묻는 질문에 1인가구의 과반수(51.2%)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다소 비싸더라도 품질이 좋은 식품·재료를 구입하는지를 물은 결과는 27.6%에 그쳐 3∼4인가구(55.6%)의 절반에 불과했다.

1인가구는 간편하고 편리하게 한 번에 해결하려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어떤 형태로 요리나 조리를 하느냐는 질문에 1인가구는 신선식품(39.1%), 간편식(38.5%), 가공식품(21.8%)이라고 답했다.

이는 3∼4인가구에 비해 간편식은 3배, 가공식품은 2배나 높은 것이다.

집 주변에는 대형마트(34.4%), 저가판매점(29.2%), SSM(9.6%) 등이 있기를 원했고, 혼자 사는 것에 대해 만족한다(56.4%)가 그렇지 않다(8.4%)를 크게 웃돌았다.

1인가구 소비자들을 위해 향후 새로 개발되거나 확대되기를 원하는 상품(서비스)은 반찬(45.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식사대용식품(44.0%), 1인가구 전용코너(43.6%), 배달서비스(42.4%), 랜털서비스(39.6%) 등이 뒤를 이었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1인가구가 새로운 소비주체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은 이들의 소비특성을 면밀히 분석해 상품개발, 유통 채널 확보 등을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