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절반 이상 분만실 갖추지 않아”

“산부인과 절반 이상 분만실 갖추지 않아”

입력 2013-10-17 00:00
업데이트 2013-10-17 1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현숙 의원 “산부인과·분만실 설치 적극 지원해야”

국내 산부인과 가운데 절반 이상이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분만실을 갖추지 않아 출산 인프라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현숙(새누리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2012~2013년 7월 전체 산부인과 진료기관 및 분만 가능 산부인과 현황’에 따르면 산부인과 진료과목이 있는 요양기관 1천965곳 가운데 분만실을 갖춘 기관은 869곳으로 전체의 44.2%에 그쳤다.

전국 164개 시군구 가운데 분만실을 갖춘 산부인과가 단 한 군데도 없는 곳도 47곳에 달했다.

특히 충북의 13개 시군구 가운데 옥천군, 괴산군, 음성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증평군 등 7곳(53.8%)은 분만실이 없었다. 강원은 18개 시군구 가운데 영월군, 횡성군, 양양군, 고성군, 인제군, 양구군, 평창군, 화천군 등 8곳(44.4%)이 분만실을 갖추지 못했다.

이외에도 경기 의왕시, 과천시, 연천군과 부산 강서구, 기장군 등도 지역 내에 분만실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부산, 대구 등의 경우 산부인과 수는 각각 500곳, 138곳, 116곳으로 많은 편이지만 분만실이 있는 비율은 각각 34.6%, 38.4%, 28.4%로 40%에도 채 미치지 못했다.

심장병 등 선천적 질병을 가지고 태어나는 신생아를 치료할 ‘신생아 집중치료실’을 갖춘 산부인과도 턱없이 부족했다.

전국 산부인과 1천965곳 가운데 신생아 집중치료실이 있는 곳은 131곳으로 전체의 6.7%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2월 임신한 몸으로 업무를 수행하다 숨진 이신애 중위가 근무하던 강원 인제군에는 분만실은 물론 산부인과조차 없었다”며 “이를 총괄하는 복지부는 분만 취약지에 대한 산부인과·분만실 설치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