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는 어떻게 디아이 주가를 800% 끌어올렸나”

“싸이는 어떻게 디아이 주가를 800% 끌어올렸나”

입력 2013-10-17 00:00
업데이트 2013-10-17 15: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싸이의 ‘강남스타일’ 신드롬으로 싸이 부친이 이끄는 기업의 주가가 지난해 800% 폭등한 현상을 재조명했다.

WSJ는 인터넷판에서 지난해 7월 ‘강남스타일’이 나오기 전 3천800만 달러(약 404억원) 정도였던 디아이의 시가총액이 지난해 10월 중순 3억3천400만 달러까지 치솟았다고 보도했다.

디아이의 시총은 지난 16일 현재 약 2억7천200만 달러로, ‘강남스타일’ 이전의 7배 이상이라고 WSJ는 전했다.

이 신문은 이런 일이 한국에서 테마주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또 다른 사례로 지난해 안철수 의원의 대선 출마로 주가가 치솟았다가 사퇴로 급락한 안랩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WSJ는 싸이 테마주 현상을 분석한 최근의 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앤디 김 싱가포르 난양공대(NTU) 교수와 정호성 한국은행 연구원은 논문에서 디아이의 주가 거품이 더 높은 가격에 주식을 되팔아 차익을 남기려는 테마주 거래의 전형적인 ‘재판매 옵션’에 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국에 거주하는 개인 투자자들은 자국에서 유튜브에 ‘강남스타일’ 플래시몹이나 패러디 영상이 올라오는 걸 볼 때마다 디아이 주식을 순매수했다.

그러나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투자자들은 같은 기간에 오히려 순매도했다.

연구진은 ‘재판매 옵션’ 전략 면에서 한국 거주 외국인들이 외국 거주 외국인보다 한 발짝 앞서감으로써 ‘덜 순진한 방식’으로 투자행위를 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외국인은 현재 디아이 주식의 3% 정도를 보유해 지난해 12월 9%보다 비중이 줄었다.

김 교수는 “이 흥미로운 사례는 엄청난 주가 거품이 기업 정보나 기초여건(펀더멘털)과는 전혀 무관한, 미디어가 끌어낸 관심으로만 촉발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