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파이시티’ 불완전판매 여부 촉각

금융권 ‘파이시티’ 불완전판매 여부 촉각

입력 2013-10-19 00:00
업데이트 2013-10-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여연대서 실태조사 요청

금융감독원이 우리은행의 ‘파이시티 사업’ 신탁상품 판매에 대한 특별검사에 들어가면서 금융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동양 사태 이후 금융상품 불완전 판매에 대한 당국의 검사 및 제재가 강화됐음을 알리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우리은행은 “파이시티 청산 작업이 끝나면 원금을 돌려줄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펀드 자체가 반 토막 난 만큼 원금 회수는 어렵다고 평가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 7일부터 우리은행의 파이시티 관련 불완전 판매 의혹에 대해 특별검사에 들어갔다. ‘우리은행·파이시티 특정금전신탁상품 피해자 모임’과 참여연대 시민경제위원회가 지난 2일 금감원에 관련 조사를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파이시티는 서울 서초구 양재동 옛 화물터미널 자리에 복합유통센터를 짓는 개발사업이었으나 과도한 차입금으로 2011년 회생절차에 들어갔다. 하나UBS자산운용은 ‘하나UBS클래스원특별자산펀드3호’를 만들어 우리은행, 동양증권 등에 팔았고, 우리은행은 특정금전신탁으로 고객 1400명을 상대로 1900억원어치를 판매했다.

펀드를 산 고객들은 원금 회수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며 원금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하나UBS클래스원특별자산펀드3호의 수익률이 이미 반 토막 난 상태이기 때문이다. 최근 하나UBS자산운용은 대출채권을 재평가해 이 펀드의 순자산액을 48.5%로 낮췄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지급된 연 8%의 수익을 감안해도 원금의 절반 정도는 손실을 보게 된다.

이에 대해 우리은행 관계자는 “파이시티 청산 작업이 끝나면 원금을 보장해줄 수 있을 것이다. 아직 원금이 손실 난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금감원에 실태 조사를 요청한 참여연대 시민경제위원회 장흥배 간사는 “시행사 자체가 선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원금 보장이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펀드가 증권사에서도 팔렸지만 은행만 문제되는 이유는 아무래도 은행 신탁을 구입한 사람들이 원금 보장에 대한 믿음이 더 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3-10-19 12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