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열풍’ 끝났나…커피값 지출 2분기 연속 감소

‘커피 열풍’ 끝났나…커피값 지출 2분기 연속 감소

입력 2013-10-21 00:00
업데이트 2013-10-21 09: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체감경기 ‘냉각’ 여파 “커피 마시는 돈 줄이자”… 핸드드립 커피 유행ㆍ중저가 커피전문점 증가도 이유

불황 속에서도 꾸준히 증가하던 커피값 지출액이 올해 들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글로벌 경기회복 움직임에도 우리 국민이 느끼는 체감경기가 여전히 냉랭해 씀씀이가 줄어든 탓이다.

21일 금융투자업계와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당(전국·2인 이상) 커피 및 차 관련 지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8천17원)보다 1.8% 적은 7천873원으로 집계됐다.

커피 및 차 관련 지출액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매분기 전년 동기대비 평균 10.5%의 증가율을 보여 왔다.

심지어 미국발 금융위기나 유로존 재정위기의 여파 속에서도 잠시 주춤했을뿐 증가세가 꺾이지 않아 ‘불황이 없는 시장’이란 찬사를 받았다.

하지만 올해 1분기 가구당 커피 및 차 관련 지출액은 전년 동기(8천624원)보다 1.4% 적은 8천500원으로 6년만에 처음 감소했다. 2분기에도 마이너스(-) 성장이 이어지면서 업계에선 커피 산업의 성장이 한계에 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커피값 지출이 2분기 연속으로 줄면서 일시적인 위축이 아닐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커피숍은 마진율이 높고 비교적 저비용으로 시작할 수 있어 은퇴후 창업 아이템으로 각광 받았지만 앞으로는 좀 더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고 충고했다.

다만 통계당국은 당장 커피 산업의 몰락을 점치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해당 통계는 커피믹스나 원두 구입액을 나타낼 뿐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 등에서 커피를 사마시는 지출은 포함돼 있지 않다”면서 “집에서 마시지 않는다고 바깥에서도 마시지 않을 것이라고 볼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실제 커피 전문점에서의 소비와 식사비 등을 망라한 가구당 외식비 지출액은 2009년 27만4천786원에서 2010년 28만5천668원, 2011년 29만2천940원, 2012년 30만4천799원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최근에는 중저가 커피전문점도 늘었고, 주택가 곳곳까지 커피숍이 침투해 있다”면서 “집에서 커피를 끓이는 대신 사다 마시는 사람이 늘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2분기 주류·담배 지출은 2만7천587원으로 작년(2만7천969원)보다 1.37% 감소했다.

담뱃값 지출은 1만7천424원으로 6.4% 줄었지만, 술값 지출은 1만163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8.7% 늘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