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비용, 평균 5천만원…최고 3억3천만원”

“결혼비용, 평균 5천만원…최고 3억3천만원”

입력 2013-10-22 12:00
업데이트 2013-10-22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인당 결혼 비용이 평균 5천만원을 훌쩍 넘어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결혼 당사자와 혼주 1천 명을 설문한 결과, 주택 마련 비용을 제외한 1인당 평균 결혼 비용은 5천198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최소 비용은 334만원이었고, 비용이 가장 많이 들어간 경우는 3억3천650만원에 달했다.

남성은 결혼 비용으로 평균 5천414만원, 여성은 4천784만원을 지출했다.

소득 계층별로 월 300만원 이하 소득 가구의 결혼 비용은 4천93만원, 월 800만원 이상은 약 두 배 수준인 7천239만원이었다.

예식 비용은 1인당 120만원부터 1억1천900만원까지로 편차가 컸다.

식장 유형별로는 호텔이 2천414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일반 예식장(1천528만원), 공공시설(1천441만원), 종교 시설(1천418만원) 등의 순이었다.

신혼 가구당 주택 마련 비용은 구입이 2억7천200만원, 전세는 1억5천400만원이 필요했다.

그러나 응답자의 85%가 이런 결혼 실태에 대해 “호화 사치 풍조가 존재한다”고 답해 부정적인 의견이 주류였다.

호화 사치 결혼의 이유로는 ‘남만큼 호화로운 결혼식을 치러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라는 응답이 27.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물질 만능 풍조(24.6%)’, ‘사회 지도층의 과시적 혼례(21.5%)’, ‘건전한 결혼 모델 부재(17.4%)’ 등이 순위에 올랐다.

응답자의 77%는 공공시설에서 저렴하게 치르는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어려운 식장 구하기20.5%), 계약에 없는 서비스 추가 또는 비용 요구(19.3%), 서비스 종사원의 불친절(3.0%) 등의 불만이 있었다.

응답자의 절반(45%) 정도는 결혼 상품과 서비스 정보를 주로 결혼 대행업자나 예식장 사업자를 통해 알게 되지만, 이 정보가 신뢰할 만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65%에 불과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작은 결혼식 등 새로운 모델을 개발해 보급하는 한편 합리적 소비를 지원해 줄 결혼 상품·서비스의 비교 정보 체계를 구축해달라고 관계 당국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