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게임·애니메이션 제작 지원… 中企에 해외진출 정보 제공·상담

방송·게임·애니메이션 제작 지원… 中企에 해외진출 정보 제공·상담

입력 2013-10-28 00:00
업데이트 2013-10-28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0여개 사업 수행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연간 운용하는 예산 규모는 약 3000억원으로 현재 150여개의 사업을 수행 중이다. 진흥원의 주요 사업은 크게 콘텐츠 제작 지원, 콘텐츠 해외진출 지원, 문화기술(CT) 육성, 창의인재 양성과 산업기반 조성, 정책개발 및 조사연구 등 5가지 영역으로 나뉜다.

콘텐츠 제작 지원의 경우 장르별 특성과 발전 단계를 고려해 지원한다. 방송은 경쟁력 높은 미니시리즈 드라마 외에도 단막극과 다큐멘터리에 대한 중점 지원을 펼치고 있다. 최근 포맷바이블 제작, 신규포맷파일럿 제작 등 방송계 회두로 떠오른 포맷 관련 지원사업도 강화하고 있다.

수출효자상품인 게임은 온라인 게임의 해외 서비스를 집중 지원하고 있다. 해외 서비스에 필요한 플랫폼과 네트워크 외에도 통합빌링시스템, 고객대응센터, 공동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게임 ‘글로벌서비스 플랫폼’(GSP)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분당에 신생 게임개발사에 대해 사무공간을 임대하는 글로벌게임허브센터도 운영 중이다.

새로운 한류 콘텐츠로 떠오르고 있는 애니메이션, 만화, 캐릭터 산업은 기획부터 제작, 유통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제작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의 국제공동제작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중점 지원하고 있으며,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 등 패션 콘텐츠에 대한 지원 사업도 진행 중이다. 또한 다양한 음악 장르의 활성화를 위해 인디 음악 등 여러 장르에 대한 신인 뮤지션 발굴, 앨범 제작, 공연 개최 등 음악 산업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해외진출 지원의 경우 한콘진이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이다. 해외진출에 필요한 시장 정보 제공, 전문가 상담, 더빙, 번역, 자막 등을 지원하는 글로벌콘텐츠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미국(로스앤젤레스), 중국(베이징), 일본(도쿄), 영국(런던) 등 주요 시장 지역에 해외 사무소를 설치하여 국내 콘텐츠 기업과 현지 기업의 비즈니스 상담과 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이 밖에도 서울캐릭터라이선싱페어(7월), 국제방송영상견본시(BCWW·9월), 서울국제뮤직페어(MU:CON·10월), 패션문화마켓(Fashion KODE·10월), 국제콘텐츠콘퍼런스(DICON·11월) 등 매년 다양한 국제 행사를 통해 국내외 산업 관계자들이 네트워킹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콘텐츠 산업의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해 총상금 6억원 규모의 대한민국 스토리공모대전을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작가들이 안정으로 시나리오 창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스토리창작센터도 운영 중이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3-10-28 1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