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수산물 5년동안 27% 상승…주부 장바구니 고물가 이유있네

농축수산물 5년동안 27% 상승…주부 장바구니 고물가 이유있네

입력 2013-11-02 00:00
업데이트 2013-11-02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월 물가상승률 전년동월 대비 0.7%… 14년 만에 최저라지만

1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인 작년 10월에 비해 고작 0.7% 오르는 데 그쳤다. 1999년 7월의 0.3% 상승 이후 14년 3개월 만에 최저수준이다. 하지만 정부는 “1년 동안 거의 그대로일 정도로 물가가 안정돼 있다”고 대놓고 말하지 못한다. 국민들이 납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주부들은 장바구니 물가가 높다고 아우성이고 직장인들은 점심값이며 교통비며 생활비 부담이 커졌다며 울상이다. 단순한 소비자물가 상승률 대신에 국민 생활을 좀 더 밀접하게 반영하는 통계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이유다.
이미지 확대


소비자물가 통계에는 일반적으로 1년 전과 비교한 수치가 쓰인다. 하지만 국민들은 자신의 경험을 기준으로 물가를 체감한다. 남준우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2~3년 전에 등산복을 샀던 소비자가 최근에 다시 등산복을 사려면 30만원 정도 하는 기능성 등산복이 대부분인 것을 알고 깜짝 놀란다”면서 “국민 체감과 통계청 수치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지수는 0.7% 올랐지만 지난 3년간으로 따져보면 6.4%, 5년간으로 계산하면 12.5%가 증가했다. 가격이 내린 품목(총 481개)은 지난 1년간 136개였지만 5년간으로 보면 42개에 불과했다.

주부들이 민감한 농축수산물 물가는 지난 1년간 5.4%가 하락했지만 5년간으로 보면 27.3%가 증가했다. 세부 품목 481개 중 5년간 가장 많이 오른 10개를 따져보니 고등학교 교과서가 112.8%로 1위였다. 나머지 9개는 양상추(106%), 배(84.2%) 등 모두 식재료이거나 주방용품이었다. 장바구니 체감물가가 높다는 주부들의 지적은 나름의 이유가 있는 것이다.

노재선 서울대 농업경제사회학부 교수는 “농산물의 경우 올해만 풍년이었지 이상 기후로 인해 최근 5년간 크게 올랐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물가가 안정세라고 느끼기 힘들다”면서 “도매가격이 하락하는 데도 소매가격은 내리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분석했다. 그는 “통계청은 날배추 가격을 조사하지만 많은 소비자들이 절임배추를 사는 것도 통계의 현실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년간 상승폭을 따져 보면 앞서 5년치의 변화와 사뭇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등산용품으로 41.2% 올랐다. 선크림(27.6%), 디지털도어록(25.7%), 택시료(15.3%), 자동차용품(14.9%), 청바지(14.6%) 등을 포함해 6개 품목이 식재료 이외의 항목들이었다.

문제는 소비자들의 완전히 다른 기준을 충족할 만한 통계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통계청은 체감 물가의 반영도를 높이기 위해 5년마다 1회 변경하는 품목 가중치를 5년에 2회씩으로 바꿀 계획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481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한 후 각각에 가중치를 둬 지수를 생성한다.

황상민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물가지수는 라면과 짜장면을 중요시하는 1970~80년대 생활패턴에 머물러 있다”면서 “향후에는 국민 행복을 증진하는 품목을 선정해 가중치를 높이는 등 심리적이고 주관적인 민감성을 담아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11-02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