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인구 ⅔ 6년안에 LTE 쓸 수 있다”

“세계 인구 ⅔ 6년안에 LTE 쓸 수 있다”

입력 2013-11-12 00:00
업데이트 2013-11-12 0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9년엔 동북아 LTE 가입자 10억명…세계 휴대전화 가입자 60% 스마트폰 사용”

세계 인구의 ⅔가 6년 안에 롱텀에볼루션(LTE) 이동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스웨덴의 통신장비 회사 에릭슨 모빌리티는 2019년까지 3세대(3G) 이동통신인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과 고속패킷접속(HSPA)의 커버리지는 세계 인구의 90%, 4세대(4G)·LTE 망의 커버리지가 세계 인구의 65%에 달할 것이라고 1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특히 2019년에는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마카오 등 동북아시아 LTE 가입자만 10억명이 되고, 이 가운데 중국 가입자는 7억명일 것이라고 추산했다.

에릭슨은 현재 한국의 LTE 보급률은 50%로 세계에서 가장 높고, 일본 역시 20%에 달해 한국과 일본의 LTE 가입자를 합하면 세계 가입자의 35%를 점유한다고 설명했다.

에릭슨은 또 2019년 휴대전화 가입자는 93억명까지 늘어나고, 이 가운데 60%인 56억명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재 분기별 판매량에서는 스마트폰 비중이 피처폰(일반 휴대전화)를 넘어섰지만, 휴대전화 가입자 중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중은 아직 전체의 25∼30%인 상황이다.

더글러스 질스트랩 에릭슨 전략담당 부사장은 “스마트폰 가입자가 10억명이 되는 데는 5년 이상이 걸렸지만, 20억명이 되는 데는 앞으로 2년도 걸리지 않을 것”이라며 “2019년까지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3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특히 저가 스마트폰 제품이 늘어남에 이 같은 흐름이 중국을 비롯한 성장시장(emerging markets)에서 일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마트폰 통화량(트래픽)은 2019년까지 10배로 늘어나 10엑사바이트(EB, 약 1조메가바이트< MB>)가 될 전망이다.

동영상 통화량은 매년 55%씩 성장하고, 모바일 통화량의 절반 이상을 점유할 것으로 분석됐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웹 서비스는 각각 10% 가량의 통화량을 점유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