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社 국내외 출장 年 1만4천건…공기업 곳곳 방만

1개社 국내외 출장 年 1만4천건…공기업 곳곳 방만

입력 2013-11-17 00:00
업데이트 2013-11-17 1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의 직장’ 공공기관 이야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실태를 들여다보면 ‘해도 너무한다’는 소리가 나온다.

막무가내식 사업 투자로 적자를 늘리면서도 수당이나 출장비, 성과급을 과다 지급해 ‘돈 잔치’를 벌이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특히 공공기관 분류 중 ‘기타공공기관’에 해당하는 기관들은 정부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방만 경영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정부가 그동안 손을 놓았던 기타공공기관의 관리를 강화키로 한 배경이다.

◇ 사업은 부실하게 ‘돈 잔치’는 통 크게

4년간 손대는 사업마다 적자를 기록하고, 비리 직원에게 수억원의 퇴직금을 준 회사가 있다. 기타공공기관인 강원랜드 이야기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강원랜드는 지난 2009년부터 올해까지 상동테마파크, 스위치백리조트, 하이원엔터테인먼트 등에 1천300억원을 쏟아붓고서 305억원에 이르는 적자를 봤다.

엉망진창으로 추진된 사업만 문제가 아니다. 지난 2010년부터 금품과 향응을 받아 해임된 임직원 14명에게 퇴직금으로 총 3억8천만원을 ‘통 크게’ 줬다.

정년퇴직하는 직원이 요청하면 직계가족에게 채용전형에서 우선권을 주고, 연 1%의 금리로 주택자금도 대출해주고 있다.

또 다른 기타공공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지난해 국내외 출장비로 52억8천230만원을 썼다. 출장횟수는 국내 1만3천465건, 국외 555건으로 총 1만4천11건에 이른다. ‘우주로 출장을 간 거냐’는 비아냥거림까지 나온다.

한국투자공사는 올해 10월까지 운영위원회를 7번 열고서 1회당 위원장에게는 약 583만원, 위원들에게는 416만원을 지급했다. 회의 한 번에 웬만한 직장인 한달 월급보다 많은 돈을 준 것이다.

한국저작권위원회는 10년 이상 근무한 직원 중 1년 이내에 정년을 맞는 직원에게는 유급으로 3개월까지 ‘퇴직준비휴가’를 주고 있다.

공공기관 방만 경영의 생생한 실태다.

◇ 기타공공기관은 ‘사각지대’…정부 “관리대상 확대한다”

위의 사례는 공공기관 중 기타공공기관에 해당하는 기관들의 얘기다.

정부는 295개에 이르는 공공기관을 규모와 기능 등에 따라 공기업(30개), 준정부기관(87개), 기타공공기관(178개)으로 분류한다.

공공기관 부채와 방만 경영 문제가 꾸준히 지적되면서 정부의 관리 노력도 강화돼왔지만, 기타공공기관은 여전히 정부 관리의 ‘사각지대’에 있다.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상 정부의 경영실적 평가나 경영지침 통보 대상이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으로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공공기관운영위원회가 일부 기타공공기관 기관장에 대해 별도 평가를 결정할 수는 있지만, 평가 결과는 ‘참고 사항’ 수준이다.

예산지침 등 경영지침도 기타공공기관에 대해선 준용 근거만 있을 뿐 강제할 도리가 없다. 방만 경영이나 도덕적 해이가 불거지기 쉬운 조건인 것이다.

기타공공기관 178곳은 지난해 기준 10조2천억원에 이르는 부채를 짊어지고 있다. 부채비율은 66.9%다.

이런 상황에서도 직원 복지는 웬만한 민간기업보다 좋다. 정부가 예산지침을 통해 막는 학자금 지급과 장기근속자에 대한 금전적 혜택, 고용세습 제도를 여전히 유지하는 곳이 많다.

서울대병원과 경북대병원, 경상대병원, 충남대병원 등은 직원 자녀 대학 학자금을 지급한다. 코레일유통은 15년, 25년 장기근속자에게 각각 60만원과 170만원 상당의 기념품을 준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장기근속자에게 ‘안식년’을 주기도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앞으로 관리대상 공공기관을 확대해 사각지대에 놓인 기타공공기관에 현미경을 들이댈 계획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이번 국감에서 나왔듯 고용세습, 과잉복지 논란이 빚어진 곳의 상당수가 기타공공기관”이라며 “문제 기관을 공기업이나 준정부기관으로 관리해 경영평가를 받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