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그룹 상장사 사내유보금 477조원…3년새 44%↑

10대그룹 상장사 사내유보금 477조원…3년새 44%↑

입력 2013-11-20 00:00
업데이트 2013-11-20 09: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CEO스코어 조사…롯데 유보율 5천123%, 삼성 유보금 162조원

10대 그룹의 사내유보율과 유보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1천668%, 477조원에 이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적정 수준의 사내유보금에 대해 과세하는 법인세법 개정안이 논의되고 있다.

20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10대 그룹의 금융사를 제외한 82개 상장 계열사의 사내유보금을 조사한 결과 지난 6월말 현재 477조원으로 3년전인 2010년말 331조원에 비해 43.9% 늘어났다.

이에 따라 사내유보율도 1천376%에서 1천668%로 292% 포인트나 상승했다.

사내유보금은 기업의 당기이익금 중 세금과 배당 등으로 지출된 금액을 제외하고 사내 축적한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합한 금액이다. 이때 이익잉여금은 단순히 ‘쓰고 남은 돈’이 아니라 회계학적으로는 사업확장이나 영업활동을 위해 기계·설비·건물 및 현금성 자산 등의 형태로 재투자되는 돈을 의미한다.

사내유보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누면 사내유보율이 된다. 유보율이 높을수록 재무구조가 탄탄하고 무상증자, 배당 가능성도 큰 기업으로 평가받는 반면 투자 등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그룹별로는 롯데그룹 7개사의 사내유보율이 5천123%로 가장 높았다. 2010년 5천469%에 비해서는 346%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제2롯데월드 등 공격적인 투자가 이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내유보금은 26조5천억원으로 3년전 17조7천억원에서 49.5% 늘었다.

사내유보율 2위는 포스코로 3천722%에 달했다. 7개사의 사내유보율은 2010년보다 342%포인트 상승했고 사내유보금도 37조3천억원에서 43조9천억원으로 17.7% 증가했다.

삼성그룹 13개 상장사의 사내유보율은 3천709%로 그 뒤를 이었다. 2010년 2천478%에서 3년새 1천232%포인트나 높아졌다. 상승폭으로는 10대 그룹 중 최고다. 이들 계열사의 사내유보금은 2010년 108조원에서 50.1% 늘어난 162조1천억원에 달했다.

현대중공업의 3개 상장사의 사내유보율은 3천340%로 2010년 2천579%에서 760%포인트 상승했다. 사내유보금은 15조3천억원에서 19조8천억원으로 30%가량 늘었다.

이어 현대자동차그룹 9개 상장사의 사내유보금은 2010년 50조5천억원에서 두배가량 불어난 100조6천억원으로 금액 순으로 삼성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사내유보율은 1천926%로 10대 그룹 평균치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국내외 투자가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나머지 SK, LG, GS, 한진, 한화 등 5개 그룹의 유보율은 평균을 밑돌았는데 GS 1천135%, SK 822%, LG 737%, 한화 511%, 한진 211% 순이었다.

이중 SK와 한진은 사내유보율이 2010년에 비해 큰 폭으로 낮아졌고 LG와 한화는 거의 제자리걸음이었다.

그러나 사내유보금 규모는 SK가 55조7천억원으로 현대차에 이어 3위이고, LG도 47조9천억원으로 4위였다.

반면 한진은 사내유보금이 2010년 5조4천억원에서 6월말 현재 2조7천억원으로 10대 그룹 중 유일하게 50% 줄어들었다.

개별 기업으로는 SK텔레콤의 사내유보율이 3만7천821%로 ‘초우량’ 내실을 과시했다. 사내유보금만도 15조3천억원에 달했다.

이어 롯데칠성음료 2만9천151%, SK C&C 2만8천900%, 롯데제과 2만3천258%, 삼성전자 1만8천712%, 현대글로비스 1만533%, 롯데푸드 9천927%, 롯데쇼핑 9천780%, 포스코 9천515%, 에스원 4천795% 순이었다.

’톱10’에 롯데 계열사가 4개나 속했고 삼성과 SK는 각각 2개씩 이름을 올렸다.

한편 SK텔레콤측은 “자본금 자체가 446억원으로 적어 유보율이 항상 크게 나온다”며 “현금을 쌓아두고 투자를 안하는 것이 아니라 작년 투자액이 2조9천억원에 이르러 작년말 현재 현금성 자산이 4천922억원으로 줄어든 상태”라고 설명했다.

SK브로드밴드와 롯데그룹의 현대정보기술의 사내유보율은 각각 -21%와 -11%로 마이너스 유보율을 보였다.

이밖에 한진해운(6%), GS그룹의 코스모신소재(23%)·코스모화학(83%), LG유플러스(61%) 등 4개 업체도 100%를 밑돌았다.

기업별 사내유보금으로는 삼성전자가 137조8천억원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2위 현대자동차(48조원)와도 3배가량의 격차를 보였다.

이어 포스코 41조5천억원, 현대모비스 18조5천억원, 현대중공업 17조5천억원, 기아자동차 16조1천억원, 롯데쇼핑 15조4천억원, SK텔레콤 15조3천억원, SK이노베이션 15조원, LG전자 11조9천억원이 ‘톱10’에 들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