色을 허하라, 지갑 열리리

色을 허하라, 지갑 열리리

입력 2013-11-26 00:00
업데이트 2013-11-26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통업체 불문율 컬러 마케팅 대해부

소비자들이 물건을 살 때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요소는 무엇일까. 가격을 떠올리기 쉽지만 의외로 색깔이다. 미국색채연구소에 따르면 소비자는 물건을 살지 말지 90초 안에 결정을 내리고, 이 결정의 62~90%는 색깔에 의존한다고 한다. 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은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색깔을 연구하고 판촉에 사용하는 컬러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특정한 색깔을 보면 브랜드를 떠올리도록 고유의 색을 사용하는 것은 보편적인 컬러마케팅이다. 이마트를 대표하는 색깔은 노란색이다. 매장에 걸린 상품 소개와 가격표를 노란색으로 꾸미고, 직원 유니폼과 쇼핑카트도 노란색으로 통일했다.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는 빨간색을 고유색으로 사용한다.
이마트의 노란색을 활용한 매장 연출.
이마트의 노란색을 활용한 매장 연출.


이마트는 신선식품과 즉석조리식품 포장지에도 특성에 맞는 색을 입혔다. 사과는 붉은색, 엽채류는 녹색이 들어간 비닐 포장지에 담는 식이다. 수산물은 바다를 연상시키는 파란색 포장지를 사용한다.

다만 흰살 생선, 흰색 갑각류, 어패류를 담는 스티로폼 받침은 싱싱함이 돋보이도록 보라색으로 제작했다. 튀김류, 식사대용품을 매장에서 조리해 판매하는 즉석식품 코너는 식욕을 자극하는 따뜻한 색인 주황을 활용했다.
롯데마트의 컬러 생활용품.
롯데마트의 컬러 생활용품.
롯데마트의 컬러 생활용품.
롯데마트의 컬러 생활용품.


롯데마트는 2011년 자체상표(PB) 브랜드를 ‘초이스엘’로 바꾸면서 컬러마케팅을 강화했다. 롯데 하면 떠오르는 빨강을 주 색상으로 사용하되 고품질에 가격대가 높은 프리미엄 PB인 ‘프라임엘’은 ‘블랙라벨’을 연상시키는 검정과 금색으로 나타냈다. 가격 경쟁력을 강조한 ‘세이브엘’은 하늘색, 유기농제품 PB인 ‘바이오엘’은 자연을 상징하는 초록과 갈색을 사용했다.

주방·생활용품은 화려한 색을 띤 상품 비중이 늘고 있다. 롯데마트가 상반기 매출을 분석한 결과 다용도 수납함의 경우 흰색이나 투명색을 쓴 제품의 매출은 지난해 대비 20.8% 감소한 반면, 빨강, 파랑 등 원색은 51.8% 증가했다. 프라이팬도 주황, 초록, 분홍 등 톡톡 튀는 색깔 제품의 매출이 검정 등 기존 제품보다 30%가량 많았다.

이현정 롯데마트 청소욕실 팀장은 “불황일수록 화려하고 과감한 색으로 분위기를 바꾸고 싶어 하는 심리가 강해지는 것을 고려해 올해 컬러 상품을 대폭 강화했다”고 밝혔다.
갤러리아 명품관 식품관 고메이494의 ‘셀카’ 최적 장소 파우더룸의 조명.
갤러리아 명품관 식품관 고메이494의 ‘셀카’ 최적 장소 파우더룸의 조명.


갤러리아는 조명의 색을 조절해 손님을 끌어모으는 전략을 쓰고 있다. 갤러리아 명품관 식품관인 고메이494는 온화한 주황빛의 2700켈빈(색온도를 나타내는 단위) 조명을 배치했다. 백색 형광등 수준의 4000켈빈 조명을 쓰는 일반 매장보다 어둡다. 이곳의 조명은 휴대전화로 자신을 찍는 ‘셀카’가 잘 나오는 것으로 유명하다. 갤러리아 관계자는 “예쁜 셀카를 찍으려는 여성 고객이 몰리면서 인터넷 블로그에 하루 평균 10건 이상의 고메이494 후기 글이 올라온다”고 말했다.

롯데백화점은 올 초부터 위축된 소비 심리를 개선하고자 컬러마케팅을 시작했다. 6개월마다 트렌드 색상을 2~3가지 정해 점포 안팎을 단장한다.

상반기에는 불황에 지친 고객의 마음을 치유하는 의미로 민트(밝은 녹색)와 오렌지(주황색)를 선정했다. 하반기에는 풍요로운 과거를 회상하는 복고 유행에 맞춰 삼바레드(짙은 붉은색), 미코노스 블루(진파랑), 아사이 퍼플(진보라색)을 택해 마네킹 의상과 쇼윈도 등을 꾸미고 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3-11-26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