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4대 은행 ‘司正정국’에 복잡한 속사정

국내 4대 은행 ‘司正정국’에 복잡한 속사정

입력 2013-12-02 00:00
업데이트 2013-12-02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 국내 4대 은행이 모두 금융감독원의 검사를 받는 초유의 ‘사정(司正)’ 정국 속에 개별 은행들이 각기 처한 복잡한 내부 상황들이 금융권 안팎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정한 문제에 대해 실시되는 특별검사 외에 하나은행은 회사 경영 전체를 대상으로 한 종합검사도 받고 있다. 국민은행과 우리은행도 내년 초 종합검사가 유력하다. 금감원은 현안마다 특별검사로 풀기보다는 선제적인 종합검사를 통해 머리부터 발끝까지 정밀 검진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은행은 보증부대출 가산금리 부과, 국민주택채권 90억원 횡령, 도쿄지점 비자금 의혹사건 등 3건에 대해 특별검사를 받고 있다. 카자흐스탄 센터크레디트은행(BCC) 부실, 베이징 법인장 조기 교체 파문 등 다른 의혹과는 별개다. KB금융지주는 지난달 27일 행장의 사과로까지 이어진 최근 사태가 1위 은행(자산 기준)의 위상에 먹칠을 할까 우려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 인수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걱정한다. 최고가 낙찰 원칙이 있다 하더라도 신뢰도에 흠집이 난 KB금융에 금융당국이 우투증권을 넘기기는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임영록 KB금융 회장도 지난달 30일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열린 김장나눔 행사에서 “이번 사태가 우투증권 인수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인 계좌 불법 조회 건으로 특별검사를 받고 있는 신한은행은 당국의 압박 자체는 다른 은행에 비해 약한 편이지만 한동우 현 회장의 연임 도전이라는 이슈 때문에 살얼음판을 걷는 분위기다. ‘신한 사태’가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다. 특히 오는 26일 나올 신상훈 전 신한금융 사장의 항소심 공판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신 전 사장의 횡령 부분에서 무죄가 나올 경우 신한금융에 파란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 전 사장쪽 사람들이 은행이나 계열사에 상당수 있는 만큼 신 전 사장의 입김에 일본 주주나 직원들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의 고민거리는 2007년 파이시티 신탁 불완전 판매에 대한 금감원의 특별검사 결과다. 당시의 경영진에게 책임을 묻게 되면 현 경영진으로도 불똥이 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민영화 성공을 위해 자산 클린화 등 내부에서 총력을 다하고 있는데 이런 일이 생겨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은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 재직 시절 문제 등으로 종합검사를 받고 있다. 외환은행 인수 2주년을 앞두고 외환은행 노조와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말인데 연말 같지 않다. 올해 경영 실적을 정리하고 내년 계획을 세워야 하지만 검사 대상이 아닌 분야도 잘못 눈에 들면 검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두려워해 조용히 지나가길 바랄 뿐”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12-02 1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