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하천 녹조문제 해결 팔 걷었다

수자원공사, 하천 녹조문제 해결 팔 걷었다

입력 2013-12-13 00:00
업데이트 2013-1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학·연 전문가 및 환경·시민단체 토론회서 대응책 모색

녹조방지 수질대책 발표
녹조방지 수질대책 발표 12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4 대하천 관리 및 녹조문제 대토론회’에서 김진원 한국수자원공사 댐유역관리처부장이 수질관리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수자원공사가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설물 안전 관리 강화, 수돗물의 안전성과 신뢰 확보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한국수자원공사가 하천 녹조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수공은 12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대하천 관리 및 녹조문제 토론회’를 열고 산·학·연 전문가 및 환경, 시민단체와 함께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하천의 녹조 문제를 적극 해결하기로 했다. 4대강 사업 이후 우리나라 하천의 물관리 환경이 변화돼 다목적댐과 보를 관리하고 있는 수공이 댐이나 보의 안전뿐만 아니라 하천수질과 녹조문제에 대해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댐·보의 체계적 관리에 대응하기로 한 것이다.

 토론회는 최계운 수공 사장과 물 환경 전문가, 시민·환경단체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토론회에서 민경석 경북대 교수는 “장기적으로 녹조 발생을 유발하는 질소, 인 유입을 막는 사업에 물이용부담금 투자 규모를 대폭 확대하는 등 정부차원의 정책 전환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허재영 대전대 교수는 “우선 수질모니터링을 강화해 4대강사업 이후 실제 하천환경의 변화가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고, 이후 그에 적합한 수질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정수 녹색미래 사무총장은 “정부는 녹조가 발생해도 수처리를 강화해 수돗물의 안전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시민들은 여전히 식수원에 불안해하고 있다”며 “물전문 공기업인 수공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최계운 사장은 “수공은 다목적댐과 보 관리자로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큰 하천의 수량과 수질, 녹조 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수공은 댐↔보 연계운영을 통한 수량·수질 동시 관리,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예측, 댐·보 시설물의 상태감시 및 점검 등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해 물관리 전반에 대한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키기로 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