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38% “하루 30분도 대화 안 한다”

부부 38% “하루 30분도 대화 안 한다”

입력 2013-12-23 00:00
업데이트 2013-12-23 0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배우자에 대한 애정표현도 인색...워킹맘 “가족 서열, 아이-나-배우자”

우리나라 부부 3쌍 가운데 1쌍은 하루에 30분도 채 대화를 나누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랑한다’, ‘고맙다’, ‘예쁘다’ 등 배우자에 대한 애정표현이나 칭찬의 말에도 매우 인색했다.

인구보건복지협회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5차 저출산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1~16일 전국 기혼 남녀 1천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부부의 하루 평균 대화 시간을 묻자 가장 많은 32.9%가 ‘30분~1시간’이라고 답했다. ‘10~30분’과 ‘10분 미만’이 각각 29.8%, 8.6%로 결국 38.4%의 부부가 하루 30분도 대화하지 않고 지냈다. 1시간이상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는 28.7%에 불과했다.

부인이 임신 중인 부부의 경우 1시간이상 대화하는 비율이 55.6%에 달했으나, 영·유아나 초등학생을 둔 부부에서는 각각 27.5%, 19.5%로 크게 떨어졌다.

그나마 대화는 주로 ‘밥 먹을 때(58.8%)’ 이뤄졌다. 이어 ‘잠자기 전(21.5%)’, ‘주말(14.0%)’, ‘아침에 일어나서(5.7%)’ 등의 순이었다.

대화 주제로는 ‘자녀 교육과 건강(40.0%)’이 1순위였고, 28.2%가 ‘기타 가정일(28.2%)’을 의논한다고 답했다. ‘부부 문제(14.7%)’, ‘친구·직장생활(14.2%)’, ‘사회적 이슈(1.2%)’를 화제로 이야기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특히 자녀 교육·건강 문제가 부부 대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 영·유아 부부 42.8% ▲ 초등학생 부부 50.0% ▲ 중·고등학생 부부 70.0% 등으로 아이의 학년이 높아질수록 급증했다.

부부간 대화를 방해하는 요소로는 ▲ 늦은 귀가·주말 근무(34.4%) ▲ TV·컴퓨터·스마트폰 사용 ▲ 자녀 양육에 따른 부부만의 시간 부족(19.2%) ▲ 대화 경험과 기술 부족(10.3%) 등이 꼽혔다.

배우자에게 ‘사랑한다’는 애정 표현이나 ‘최고다’·’예쁘다’·’멋있다’·’고맙다’ 등 칭찬과 격려의 말을 얼마나 자주하는지 묻자 50.4%가 “가끔 기분 좋을 때”라고 답했다. ‘거의 매일’ 하는 경우는 25.9% 뿐이었고, 거의 안 한거나(19.8%) 한 적이 없다(1.4%)는 응답자도 적지 않았다. 50대와 60대 부부에서는 “거의 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각각 50.0%, 61.9%로 반을 넘었다.

가족 서열에 대한 생각은 응답자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편들은 가족내 서열 1위로 자신(39.1%)을 꼽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직장생활을 하는 부인, 이른바 ‘워킹맘’은 아이(34.9%)나 자신(33.4%)을 서열 1위로 여겼다. 배우자, 즉 남편이 1순위라는 대답은 28.4%에 불과했다. 반면 전업주부는 배우자(39.1%)·아이(32.4%)·자신(25.6%)의 순으로 서열을 매기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를 주관한 이상무 평택대 교수는 “부부간 대화를 늘리려면 20대에는 TV·스마트폰 사용 자제, 30~40대에는 가정 친화적 직장문화, 50~60에는 대화의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