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팰리스 거주 노인 기초연금 못 받는다

타워팰리스 거주 노인 기초연금 못 받는다

입력 2013-12-23 00:00
업데이트 2013-12-23 1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치성 재산보유 노인은 수급대상에서 제외

타워팰리스에 살면서 고급승용차를 몰고 다니는 노인은 기초(노령)연금을 받는데, 정작 생활이 어려워 아파트 경비원으로 일하는 노인은 못 받는 불합리한 일이 내년 7월부터는 사라질 전망이다. 정부가 제도의 허점을 인정하고 고치기로 했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사치성 재산 보유 노인은 기초연금 수급대상에서 제외하는 쪽으로 기초연금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제정하는 등 소득인정액 기준을 대폭 고쳐 2014년 7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지금까지 정부는 재산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재산을 합쳐서 기본재산공제(생활비 수준 등을 고려해 대도시 노인 1억800만원, 중소도시 노인 6천800만원, 농어촌 노인 5천800만원)를 한 다음, 같은 소득환산율(연 5%)을 적용해 월 소득인정액을 산정했다.

이렇게 책정한 월 소득인정액이 내년 기준으로 단독가구는 87만원, 부부가구는 139만2천원이하면 기초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하다 보니 고급주택 등 재산을 모두 자녀에게 넘기거나 골프·콘도 회원권과 고급 승용차를 보유하고도 기초노령연금을 받는 형평성에 어긋나는 일이 벌어졌다.

정부는 이에 따라 고급주택 거주 노인에 대한 사회적 정서 등을 고려해 자녀 이름으로 된 6억원 이상(종합부동산세 부과 기준) 주택 거주 노인에 대해서는 현행 장애인연금과 마찬가지로 연 0.78%의 무료 임차 추정소득을 부과할 계획이다.

이를테면 소득이 한 푼도 없지만, 공시 지가 34억원의 자녀 명의 아파트에 사는 노인은 소득인정액이 0원이어서 지금은 기초노령연금을 받지만, 앞으로는 소득인정액이 221만원((34억원×0.78%)÷12개월)으로 계산돼 수급대상에서 빠진다.

복지부는 나아가 자녀에게 증여한 재산의 산정기간을 현행 3년에서 재산소진 때까지로 연장해 관리하기로 했다. 기초노령연금을 받으려고 고액 자산가가 자녀 등에게 재산을 빼돌리거나 숨기는 등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해서다.

또 골프·콘도 등 고가 회원권이 있으면 기본재산공제 대상에서 빼고, 월 100%의 소득환산율을 적용해 기초노령연금 수급대상에서 제외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대도시에 살면서 2억원의 부동산과 2천만원의 골프 회원권이 있으면 지금은 소득인정액이 46만7천원((총재산가액 2억2천만원-기본재산공제 1억800만원)×월소득환산율(연 소득환산율 5%÷12개월))으로 기초노령연금을 받는다.

그러나 앞으로는 소득인정액이 2천38만원((부동산 가액 2억원-기본재산공제 1억800만원)×월소득환산율(연 소득환산율 5%÷12개월)+골프회원권 보유가액 2천만원)으로 산정돼 기초노령연금을 못 받는다.

아울러 차량가액 4천만원 이상(체어맨 500S, 아우디A6 3.0TDI 콰트로(quattro), 메르세데스 벤츠 E220CDI, BMW520d 등)이거나 배기량 3천cc 이상(제네시스, 에쿠스, K9 프레스티지, 메르세데스 벤츠 E300 등)의 고급승용차를 가진 노인도 기본재산공제 대상에서 빼 기초노령연금을 받지 못하도록 할 계획이다.

복지부가 민주당 김용익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자료를 보면 지난 10월 현재 타워팰리스 거주자 56명이 기초노령연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복지부는 근로소득에 대한 기본공제를 크게 확대해 일하는 노인이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지금까지는 근로소득에 대해 월 45만원만 기본공제했으나, 당장 내년 1월부터 기본공제금액을 48만원으로 늘리고, 이에 더해 내년 7월부터 30%를 추가로 공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아파트 경비원으로 일하면서 월 150만원을 버는 단독가구 노인은 현재는 소득인정액이 105만원(근로소득 150만원-기본공제 45만원)으로 기초노령연금을 받지 못했지만, 앞으로는 소득인정액이 71만4천원((근로소득 150만원-기본공제 48만원)-추가공제 30만6천원))으로 기초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복지부 유주헌 기초노령연금과장은 “소득인정액 기준을 조금 넘더라도 기초자치단체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기초노령연금을 줄 수 있도록 별도의 근거 규정을 마련하는 등 실제 사회의 보호가 필요한 노인이 기초노령연금 대상에서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