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도 리스크 많아…완화적 통화정책 유지해야”

“새해도 리스크 많아…완화적 통화정책 유지해야”

입력 2013-12-29 00:00
업데이트 2013-12-29 1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일본의 아베노믹스 실패 가능성, 북한 변수 등 경제를 둘러싼 위험요인을 극복하려면 한국이 현재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29일 ‘2014년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리스크’ 보고서에서 이처럼 주장했다.

보고서는 우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양적완화 축소로 신흥국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금융시장의 쏠림 현상이 불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문박 선임연구원은 “유동성이 줄고 신흥국의 자본유출이 심화할 것이라는 점, 내년 하반기 이후 금리인상 논의가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점 등은 우려할 만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연준의 신중한 행보 등을 고려하면 이보다 더 주의해야 하는 것이 각국 금융시장의 ‘불안감’이라며 “출구전략의 충격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경제주체의 기대인 만큼 전세계 당국의 ‘기대 관리’ 능력에 내년 금융시장의 안정 여부가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중국, 일본, 북한 등 동북아시아 각국의 경제 상황 변화와 돌발 변수도 위험 요소로 꼽았다.

특히, 아베노믹스로 불리는 일본의 확장적 경제 정책은 악성 인플레이션, 일본 국채의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지평 수석연구위원은 “일본은 내년 중 확장적인 정책기조에서 벗어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투자와 소비의 선순환을 끌어내기 어려워 보인다”며 “일본 정부는 물가 상승세를 고려해 현재의 스탠스를 유지하며 경기부양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대내적으로 가계부채와 기업 건전성 악화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원화 가치의 급등락 우려도 제기했다.

미국의 출구전략이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지만 미국 주도의 원화 절상 압력이 거세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배민근 책임연구위원은 “국제적 절상 압력과 함께 외국인 투자자금이 몰려들면 달러당 1,000원 선이 붕괴될 수 있다”며 “명목환율 절상이 경제 펀더멘털이 아닌 국내외 정책환경의 급변에 의한 것이면 심각한 후유증이 따른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한국이 위기관리에 중점을 둔 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통화정책은 현재의 완화적인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고, 환율은 주요국과의 통화스와프 확대, 국가 신용등급 개선 등을 통해 안정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