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삼성家 합병 앞두고 ‘태풍의 눈’ 되나

바이오, 삼성家 합병 앞두고 ‘태풍의 눈’ 되나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5-07-06 23:54
업데이트 2015-07-07 0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바이오에피스, 세계 3대 자가면역치료제 모두 개발 성과

삼성그룹은 바이오 의약품 개발을 맡고 있는 계열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인 ‘휴미라’(SB5)의 바이오시밀러(단백질 복제약) 개발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삼성 측은 “바이오에피스가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인 SB4(엔브렐의 바이오시밀러)와 SB2(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에 이어 SB5까지 세계 3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에 대한 임상을 모두 마쳤다”며 시판에 돌입할 경우 바이오에피스는 비교할 수 없는 경쟁력을 갖게 된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바이오 사업 성과는 삼성이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을 방해하는 미국계 헤지펀드인 엘리엇 매니지먼트(이하 엘리엇)에 맞서 물산 주주들로부터 합병 찬성 여론을 끌어모으는 데 도움을 줄 것이란 분석이다. 엘리엇은 물산 자산이 저평가됐다며 합병 비율(제일모직VS삼성물산 1대0.35)을 문제 삼고 있어 삼성으로서는 제일모직의 가치를 부각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바이오에피스의 대주주는 삼성의 다른 바이오 계열사인 바이오로직스이며, 바이오로직스의 대주주는 제일모직이다.

실제로 삼성물산은 전날 최근 양사 합병 비율에서 물산이 저평가됐다며 엘리엇의 손을 들어 준 국제의결권자문기구(ISS)의 보고서와 관련, “제일모직의 바이오 사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제일모직이 보유한 바이오 사업의 가치에 대해 시장이 7조 5000억원으로 평가하는 반면 ISS는 불과 1조 5000억원의 가치만을 부여한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ISS의 보고서는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삼성물산 종가는 보고서가 나오기 직전인 지난 3일 종가에 비해 1.79% 빠진 6만 6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전체 평균이 2.40% 빠진 것과 비교하면 물산에 대해 시장은 관망세를 취한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엘리엇은 공세의 고삐를 조이고 있다. 이날 업계에 따르면 엘리엇은 물산 지분 각각 7.18%와 4.65%를 가진 SDI와 화재의 지분 1%씩을 매입했다. 물산 계열사 지분을 확보해 삼성을 상대로 전방위 압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07-07 19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