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일부터 새 우편번호 제도 도입…6→5자리 줄어

내달 1일부터 새 우편번호 제도 도입…6→5자리 줄어

입력 2015-07-23 17:03
업데이트 2015-07-23 17: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앞 세자리가 시·군·구 표시…1년간 유예기간 둬

다음 달 1일부터 5자리로 된 새 우편번호 제도가 시행된다.

미래창조과학부 우정사업본부는 ‘국가기초구역’ 번호에 기반을 둔 새 우편번호 제도를 다음 달 1일부터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새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현행 6자리 번호가 5자리로 줄어든다는 점이다. 5자리 중 앞 2자리는 특별(광역)시·도를 식별하는 번호이고 세 번째 자리는 시·군·자치구를 나타낸다.

다만 하나의 시·도에 하나의 번호가 적용되는 게 아니라 시·군·구에 따라 번호가 달라지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앞 3자리가 합쳐져 시·도와 시·군·구를 표시한다고 봐야 한다.

예컨대 서울의 경우 자치구에 따라 ‘01∼09’의 번호가 부여되고, 경기도는 시·군·구에 따라 ‘10∼20’의 번호를 쓴다.

또 인천은 ‘21∼23’, 강원은 ‘24∼26’, 충북은 ‘27∼29’, 세종은 ‘30’, 충남은 ‘31∼33’, 대전은 ‘34∼35’, 경북은 ‘36∼40’, 대구는 ‘41∼43’, 울산은 ‘44∼45’, 부산은 ‘46∼49’, 경남은 ‘50∼53’, 전북은 ‘54∼56’, 전남은 ‘57∼60’, 광주는 ‘61∼62’, 제주는 ‘63’이다.

마지막 2자리는 해당 시·군·자치구를 다시 세분화한 일련번호다.

새 우편번호는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해 2009년 5월 도입된 국가기초구역에 따른 것이다. 국가기초구역은 도로명주소에 따라 국토를 읍·면·동보다 작은 단위로 나누고 여기에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6월 기준으로 전국의 국가기초구역은 모두 3만4천349개이며 소방·통계·우편·교육 등 모든 행정 영역에서 공통으로 활용된다.

8월부터 새 우편번호 제도가 시행되지만 일반인들은 이 번호를 안 쓰거나 아예 우편번호를 적지 않아도 별다른 불이익은 없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일단 1년간 유예기간을 둬 옛 우편번호를 쓰거나 우편번호를 아예 안 써도 별다른 페널티는 없다”며 “우편번호와 상관없이 주소를 인식해 자동으로 우편물을 분리해 배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전체 우편물의 97.6%를 차지하는 각종 금융 고지서나 통신요금 고지서 등에 대해서는 새 우편번호를 쓰면 요금 할인을 해주기로 했다. 새 제도의 빠른 정착을 위해서다.

이 관계자는 “1년의 유예기간 뒤 어떻게 할지는 새 제도의 시행 상황이나 여건을 봐 다시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재유 미래부 2차관은 23일 경기 안양시 동안구의 안양우체국을 방문해 새 우편번호 시행을 앞두고 사전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