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도입 경유택시 유명무실 되나

9월 도입 경유택시 유명무실 되나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5-07-30 18:12
업데이트 2015-07-30 18: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류비 절감 연간 13만원 수준 불과

택시 운전사들의 과도한 유류비 부담을 줄여 주겠다는 취지로 오는 9월부터 시행되는 경유 택시제가 출발 전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도입까지 한 달 정도 남은 상황이지만 정작 경유 택시를 원하는 법인이나 개인 신청자가 거의 없는 탓이다.

30일 현대·기아차와 르노삼성 등 국내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택시용 경유차 생산을 준비 중인 곳은 아직 한 군데도 없다. 아직 눈에 띄는 주문이 없기 때문이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주문부터 생산까지 약 3주가량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쯤은 경유 택시 주문이 들어와야 하지만 아직 대량 주문 등은 전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제도 시행이 코앞인데도 경유 택시에 대한 수요가 없는 까닭은 낮은 경제성 때문이다. 대한LPG협회가 신형 LF쏘나타를 기준해 LPG 택시와 경유차 택시의 유류비를 분석한 결과 경유 택시를 몰면 한 달에 약 1만 1000원 정도 유류비를 아낄 수 있다. 연간으로 따져도 약 13만 2000원에 불과하다.

택시업계는 경유차로 갈아타도 연간 13만원밖에 아낄 수 없다면 굳이 경유 택시를 선택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입을 모은다. 한 택시회사 사장은 “보통 경유차는 차 값이 LPG차 대비 500만원 이상 비싸고 소모품 비용도 많이 드는 편”이라면서 “유류비에서 적어도 연간 100만원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경유차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게다가 택시는 배기량은 물론 법인과 개인 등 종류에 따라 최소 4년에서 최대 9년 이후엔 폐차해야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지금의 유가라면 경유 택시를 선택할 개인과 법인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LPG 가격 인상을 견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유 택시 정책은 존재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5-07-31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