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수입 사상 최고…수익성은 ‘바닥’

농가 수입 사상 최고…수익성은 ‘바닥’

입력 2015-07-31 07:32
업데이트 2015-07-31 0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우리나라 농가 수입이 역대 최고 수준이었지만 경영비용 부담이 커져 수익성은 가장 낮았다.

31일 국회입법조사처의 ‘2014년 농업경제조사 지표를 통해 본 농업소득 현황과 과제’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당 농업총수입은 3천217만9천원으로 2013년(3천64만8천원)보다 5% 늘어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농업경영비도 전년의 2천61만3천원에서 6.1% 증가한 2천187만5천원으로 역대 가장 많은 수준이었다.

동물관리비(43.4%↑), 임차료(21.5%↑), 농약비(7.7%↑), 광열비(7.2%↑) 등이 전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을 비롯해 전반적으로 비용이 상승한 영향으로 입법조사처는 분석했다.

농업총수입이 늘었지만 농업경영비가 더 큰 폭으로 늘어 지난해 농업총수입에서 농업경영비를 뺀 농업소득은 1천30만3천원으로 2013년과 비교해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그 결과 농업총수입에서 농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인 농업소득률은 2013년의 32.7%보다 0.7%포인트 낮은 32%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980년에 74.9%에 이른 농업소득률은 1990년 69%, 2000년 55.8%, 2010년 37.1%로 꾸준히 떨어졌다.

도농 간 소득격차도 벌어졌다.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 비율은 61.5%로 전년(62.5%)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농업총수입이 증가해도 농업경영비가 더 많이 늘어나면 결국 수익성이 나빠지므로 농가 경영비를 절감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법조사처는 강조했다.

이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으로는 ▲ 농자재 유통시스템 개선으로 물류비용 인하 ▲ 농자재 종합정보 제공 강화 ▲ 농자재 업체 간 담합행위 방지 ▲ 농기계 공동 이용 ▲ 농약·비료 사용량 절감 ▲ 과도한 임차료 인상 억제 등을 제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