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10명중 6명 “모유 수유 중도포기 경험”

임산부 10명중 6명 “모유 수유 중도포기 경험”

입력 2015-07-31 11:07
업데이트 2015-07-31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일병원·유한킴벌리, 모유 수유 경험 1천명 조사결과

모유 수유를 선택한 산모 10명 중 6명이 계획했던 기간을 채우지 못한 채 중도에 모유 수유를 포기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일병원(병원장 민응기)과 유한킴벌리(대표 최규복)는 ‘행복한 엄마와 아기를 위한 모유 수유캠페인’의 하나로 모유 수유 경험이 있는 한 자녀 이상의 임산부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31일 밝혔다.

조사결과를 보면 처음 결심과 달리 모유 수유를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모유 수유를 6~12개월 유지하겠다고 생각한 경우는 52%였지만 실제로 계획했던 기한까지 모유 수유를 유지한 경우는 40%에 머물렀다.

중도 포기의 원인으로는 94%가 ‘모유 수유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답했다.

두려움의 원인으로는 모유량 부족에 대한 걱정이 44.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충분한 기간 모유 수유를 할 수 없을 것 같아서(24%), 아기가 젖을 거부해서(9.2%)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의학적으로 젖이 부족해 수유가 어려운 경우가 5%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절반에 가까운 임산부가 젖이 부족하다는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제일병원 산부인과 안현경 교수는 “일반적으로는 아기가 먹을 정량의 모유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젖량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의 상당수는 막연한 두려움으로 볼 수 있다”며 “이런 두려움은 모유 수유를 더욱 방해하고 나아가 육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모유 수유 중 겪는 어려움으로는 52%(518명)가 ‘밤중 수유’를, 37%(370명)가 ‘공공장소 모유 수유’를 각각 꼽았다.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 윤소영 교수는 “밤중 수유의 어려움을 해결하려면 남편 등 가족 구성원이 모유 수유 중인 엄마를 적극적으로 돕고 배려해 엄마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밖에 치료 때 약물 복용 등이 모유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해 모유 수유를 중단하는 경우도 있었다.

안현경 교수는 “모유 수유 중일지라도 전문가의 진단과 상담을 거쳐 약 복용이 충분히 가능하다”면서 “약을 복용하는 동안은 모유 수유를 일시 중단해야 하지만 미리 유축한 후 수유하고, 약 복용 중에는 젖을 짜서 버리면 중단없이 모유를 먹일 수 있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