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애플 시대 저무나’차이나 트리오’의 반격

삼성-애플 시대 저무나’차이나 트리오’의 반격

입력 2015-07-31 16:31
업데이트 2015-07-31 16: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3인방’ 점유율 20% 육박…SA “스마트폰 디자인 혁신 필요”

삼성전자와 애플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 중저가 스마트폰을 내세운 중국 제조업체들이 시나브로 점유율을 키우고 있어서다.

31일 미국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총 7천190만대의 스마트폰을 팔아 점유율 21%로 1위에 올랐다.

2위는 애플이었다. 4천750만대의 아이폰을 팔아 점유율 14%를 기록했다.

수년간 이어져 온 1, 2위 자리는 그대로였다. 문제는 이 양강 체제가 서서히 무너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양사의 합산 점유율 변화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SA 기준으로 2012년 50%에 달했던 양사의 합산 점유율은 2013년 48%로 떨어지더니 2014년 40%로 마감했다. 올해 1분기에는 아이폰6에 힘입어 42%로 살짝 오르기는 했으나 2분기에 35%까지 떨어졌다.

최근 3년간 삼성과 애플의 합산 점유율이 35%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 현지 제조업체들의 거센 추격 때문이었다.

’차이나 트리오’라 불리는 화웨이-샤오미-레노버의 합산 점유율은 20%. 여기에 ZTE, TCL-알카텔, 오포(Oppo) 등 다른 중국 업체들까지 더하면 30%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차이나 트리오의 필두에 선 건 화웨이였다.

SA에 따르면 화웨이는 2분기에 총 3천만대의 스마트폰을 팔아 점유율 9%로 3위에 올랐다. 화웨이가 스마트폰 사업을 시작한 이후 분기 점유율로 9%를 찍은 건 처음이다. 화웨이는 전날 SA가 발표한 글로벌 휴대전화 판매량에서도 경쟁업체 마이크로소프트(MS), 샤오미, 레노버 등을 따돌리고 단독 3위에 올랐다.

4위는 샤오미였는데 약 2천만대의 판매량을 기록, 6%의 점유율을 보였다. 이어 레노버(1천600만대·5%)가 5위에 올랐다.

국내 제조사인 LG전자는 지난 1분기 5위(1천540만대·4.5%)를 기록했으나 2분기에는 이들 중국 업체에 밀려 5위권 안에 들지 못했다.

닐 모스턴 SA 이사는 “삼성전자는 갤럭시S6엣지의 수요를 과소평가한 탓에 공급물량을 제때 준비하지 못해 판매량이 기대치에 못 미쳤다”면서 “앞으로도 저가폰 시장에서만큼은 중국 브랜드들의 강한 견제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총 판매량은 3억4천만대로 최근 6년간 가장 낮은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SA는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지역에서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린다 수이 SA 이사는 “죽어가는 스마트폰 시장을 되살리려면 폴더블(foldable), 롤러블(rollable) 등 스마트폰 디자인을 전면적으로 바꾸는 혁신이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