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신용카드·30대 체크·20대 모바일카드 많아

40대 신용카드·30대 체크·20대 모바일카드 많아

입력 2016-02-08 08:30
업데이트 2016-02-08 08: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지급수단 조사…60대는 카드보다 현금 선호

40대는 신용카드, 30대는 체크·직불카드, 20대는 모바일카드를 상대적으로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은행이 작년 8∼9월 전국 성인 2천500명을 대상으로 지급수단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신용카드의 경우 40대가 평균 2.16장을 보유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30대 2.05장, 50대 2.02장, 20대 1.66장 순이었다.

체크·직불카드는 30대가 1.31장으로 가장 많이 보유했다.

이어 40대는 1.29장, 20대는 1.25장, 50대는 1.22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물카드 기반의 모바일카드는 20대가 1.02장을 소지해 다른 연령층보다 많았다.

모바일 단독카드는 30대가 1.06장으로 가장 많았다.

60대를 제외한 다른 연령층은 모두 모바일카드를 1장꼴로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선불카드·전자화폐는 40대가 1.02장으로 다른 연령층보다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신용카드(1.94장)와 모바일 단독카드(1.04장) 보유에서 여성(각 1.88장, 1.00장)을 앞섰다.

반면에 여성은 실물카드 기반 모바일카드를 남성(1.00장)보다 많은 1.01장씩 소지하고 있었다.

체크·직불카드는 1.26장을 보유해 남성과 같았다.

지급수단별 이용비중을 건수 기준으로 보면 20∼40대는 모두 신용카드 이용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60대는 현금 이용비중이 45.8%로 신용카드(31.3%)보다 높았고 50대는 신용카드(39.1%)와 현금(40.8%) 사용 비율이 비슷했다.

한은 관계자는 “연령층이 높을수록 현금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고 모바일카드는 연령이 낮을수록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