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만에… 기업 신용등급 하락도 최악

18년만에… 기업 신용등급 하락도 최악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6-03-01 22:52
업데이트 2016-03-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56곳 하락… IMF 후 최대

등급 오른 업체 384곳 중 9곳뿐
“부정적”도 16곳… 긍정의 2.6배
‘자금 조달’ 회사채 시장도 위축

지난해 신용등급이 떨어진 국내 기업 수가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몇 년째 이어지는 신용등급 하락 행진에 기업들의 주요 자금조달처 중 하나인 회사채 시장도 위축되는 모습이다.

이미지 확대
1일 한국신용평가가 발표한 ‘2015년도 회사채 신용등급 변동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등급이 하락한 국내 기업은 56곳으로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직후인 1998년의 61곳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신용등급 하향업체 수는 2011년(18개) 증가세로 돌아선 이후 5년째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반면 신용등급이 오른 업체는 매년 줄고 있다. 지난해 신용평가기관이 등급을 매기는 384개 업체 중 SK하이닉스, LG이노텍, 한일시멘트 등 9개 업체만이 전년 대비 오른 신용등급을 받았다. 2013년과 2014년 각각 26개와 15개 업체의 등급이 올랐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숫자다.

특히 투자등급(BBB- 이상)과 투기등급(BB+ 이하) 사이의 변화를 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활력을 잃은 우리 경제의 모습이 더욱 뚜렷해진다. 2008년 이후 투기등급에서 투자등급으로 상향된 업체는 고작 2곳에 불과했다. 하지만 반대로 투자등급에서 투기등급으로 떨어진 회사는 매년 3~7건씩 발생했다. 대부분 조선·해운·건설·철강 업종이었다.

문제는 올해 역시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신용등급 전망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은 업체 수는 모두 16곳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은 업체 수의 2.6배에 달했다.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이라는 것은 앞으로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12년만 해도 긍정적 전망이 부정적 전망을 앞섰지만 2013년부터 역전돼 3년째 부정적 평가가 우위를 점하고 있다.

최근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서 기업들이 회사채 시장을 떠나고 있다.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유효등급을 받은 업체 수는 2004~11년 연평균 5.7%씩 증가했다. 하지만 2012년 5.0%, 2013년 4.5%, 2014년 2.9%로 증가율이 둔화하더니 지난해에는 11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39개 업체가 신용등급 시장에 신규 진입했지만 부도와 시장 이탈 등으로 51개 업체가 회사채 시장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회사채 발행 규모도 2014년 42조 3000억원에서 지난해 40조 9000억원으로 3.3% 축소됐다.

양진수 한국신용평가 연구위원은 “저금리에 투자처가 마땅치 않다는 점에서 회사채 발행에 우호적인 시장환경이지만 정작 떨어진 신용등급으로 회사채를 발행하지 못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며 “부정적인 등급을 받은 업체 수가 늘고 수출 부진 등 악재가 겹쳐 자금조달을 고민하는 기업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3-02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