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스무살 첫 거래 평생 간다” 모바일뱅크 새내기 모시기

[경제 블로그] “스무살 첫 거래 평생 간다” 모바일뱅크 새내기 모시기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6-03-01 22:46
업데이트 2016-03-02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장 수익성 떠나 장기고객 유치… 맞춤형 통장 개설·MT비 지원도

3월 입학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대학가엔 시중은행들이 대학 신입생들을 고객으로 유치하기 위한 각종 이벤트가 펼쳐지곤 했습니다. 대학 캠퍼스 내에 입점하려고 대학에 수억원의 기부금도 마다하지 않았지요. 그런데 최근에는 이런 분위기가 좀 누그러졌다고 하네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와 계좌이동제 준비로 정신이 없기도 하지만 돈 적게 드는 모바일을 강화하는 쪽으로 전략을 틀었다는 게 은행권 사람들의 설명입니다. 특히나 요즘 대학생들은 오프라인 점포를 찾기보다 스마트 앱이 훨씬 친숙하다는 것이지요. 한편으로는 한때 블루오션 시장으로 떠올랐던 대학 입점 사업이 은행 수익에 큰 도움이 못 되고 학생수마저 줄어 대학가 장사가 시원찮다는 복잡한 속사정도 있습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 대학가 특화 지점으로 운영하던 20~30대 전용 브랜드 ‘락스타’ 점포 12곳을 통폐합했습니다. 대신 스마트·인터넷 전용 상품으로 DIY(Do It Yourself) 통장 ‘내맘대로적금’을 내놓았습니다. 적립방식, 저축액, 계약기간, 우대 이율 등을 본인이 직접 설계할 수 있도록 해 대학생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네요.

우리은행은 자체 모바일 메신저 ‘위비톡’에서 대학생들이 단체 대화창을 만들고 대학과 모임명을 인증하면 추첨을 통해 봄학기 수련회(MT) 비용과 기프티콘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구은행 역시 모바일 앱 ‘아이M뱅크’의 대학교 모바일 지점을 만들어 기부금 적립과 금리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학생은 당장 수익성을 떠나 중요하고 의미 있는 고객이라고 은행권 사람들은 입을 모읍니다. 대학 등록금을 내거나 아르바이트로 번 돈을 입금하면서 처음 자신의 명의로 통장을 내는 일이 많은데 이때의 인연이 평생 고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지요.

요즘 고객을 끌어오려고 은행들이 자동차나 해외여행 등 각종 경품에 마케팅 비용을 쏟아붓고 있는데 단발성 이벤트보다 첫 고객을 끝까지 잘 모시는 게 더 중요해 보입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6-03-02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