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에서 배운다 아차차!] <7>참여정부 마지막 경제수장 권오규 前 부총리 겸 장관

[실패에서 배운다 아차차!] <7>참여정부 마지막 경제수장 권오규 前 부총리 겸 장관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03-13 22:48
업데이트 2016-03-13 23: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출산·고령화 대책 씨 뿌렸지만 뿌리 내리게 못 밀어붙여 아쉬워”

“내년부터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어드는 ‘인구절벽’이 현실이 됩니다. 인구정책의 효과는 경제의 근원적 요인(deep factor)으로 작용하고, 단기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10년 전 부총리 재임 시 마련했던 저출산·고령화 대책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강력하게 밀어붙이지 못한 아쉬움이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권오규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13일 서울 동대문구 카이스트 서울캠퍼스 연구실에서 현 정부는 높은 지지도를 바탕으로 중장기적 인구 정책을 힘있게 추진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ay@ lark3@seoul.co.kr
권오규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13일 서울 동대문구 카이스트 서울캠퍼스 연구실에서 현 정부는 높은 지지도를 바탕으로 중장기적 인구 정책을 힘있게 추진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ay@ lark3@seoul.co.kr
노무현 정부의 마지막 경제 수장이었던 권오규(64) 카이스트 금융전문대학원 교수는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시절(2006년 7월~2008년 2월) 마련한 저출산·고령화 정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았던 점을 가장 아쉬워했다. 권 교수는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경제정책수석, 정책실장,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을 지냈다.

13일 서울 동대문구 카이스트 서울캠퍼스 연구실에서 만난 권 교수는 “재임 당시 ‘비전2030’으로 정부의 중장기 비전을 마련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정권 교체로 이를 일관성 있게 추진하지 못했던 점이 아쉽다”면서 “예를 들어 복지 지출의 중장기 정책이 해마다 일관되게 이어지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집권 후반기였던 당시에 새롭고 중장기적인 정책을 추진하기에 무리가 있었다”면서 “이에 비해 현 정부는 국내외 여건이 매우 엄중한 시기인 만큼 3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정책 추진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노무현 정부의 3년차 국정 지지도는 36.2%, 현 정부는 48.5%다. 권 교수는 “높은 지지도를 바탕으로 중장기적 인구 정책을 힘있게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정부부처의 외청인 ‘이민청’이 아니라 ‘이민처’가 필요하다”면서 “별도의 명령, 규칙은 물론 법 제정을 추진할 수 조직이라야 복잡다단한 이민문제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0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초저출산국 기준인 1.30명에 턱걸이했던 합계출산율(가임 여성이 평생 낳는 자녀 수)은 권 교수가 부총리에 취임하기 직전인 2005년 1.08명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1.24명까지 회복했으나, 사망자 수 급증으로 출생아에서 사망자를 뺀 자연증가 인구는 16만 3000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권 교수는 ‘재임 당시 부동산 규제가 심해졌다’는 지적에 대해 “7월에 취임했는데, 그해 4월에 이상 징후(부동산 시장 과열)가 잠시 보였고, 8월부터 심해졌다”면서 “오히려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조이고 푸는 것을 약간씩 서둘렀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장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부동산 시장의 과열 및 냉각 신호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빨리 인지하고, 서둘러 안정 및 부양 대책을 내놨어야 한다는 뜻이다. 지금도 시장의 변화를 빠르게 인지하고 적기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3-14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