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금배지 아닌 企銀배지 택한 권선주

[경제 블로그] 금배지 아닌 企銀배지 택한 권선주

이유미 기자
입력 2016-03-14 23:04
업데이트 2016-03-15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브콜에도 잔류… 기은 “휴~”

총선 후 공기업 물갈이설은 여전

금융권의 이목이 쏠렸던 권선주 기업은행장의 거취가 결국 ‘잔류’로 결정됐습니다. 비례대표 신청 자격이 주어지는 마지막 날인 14일까지 권 행장은 ‘사표’를 던지지 않았습니다. 불확실한 최고경영자(CEO) 리스크에 가슴 졸였던 기업은행 임직원들은 일단 가슴을 쓸어 내리는 분위기입니다. 이날 최연혜 코레일 사장이 비례대표 출마를 위해 사표를 던지자 기업은행 전화통에는 불이 났습니다. “혹시 권 행장도?” 하는 확인 전화였지요.

권 행장은 그동안 ‘총선 차출설’에 끊임없이 시달려 왔습니다. 처음에는 지역구 출마설이 돌다가 나중에는 새누리당 비례대표 영입 1순위로 거론됐지요. 최초의 여성 은행장이라는 상징성과 전문성이 더해져 비례대표 후보로 제격이라는 세평이 곁들여졌습니다. 새누리당이 이번 비례대표에 여성 후보 비율을 기존 50%에서 60%로 늘리기로 하면서 권 행장의 출마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시각이 더 컸습니다.

하지만 권 행장은 ‘금배지’ 대신 은행을 택했습니다. 한 정치권 소식통은 “은행에 남겠다는 권 행장의 의지가 강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대한 분석은 엇갈립니다. 일각에서는 “다들 금배지를 달고 싶어 정치권에 줄을 대는 판국에 초심을 잃지 않는 권 행장의 뚝심이 돋보인다”고 평가합니다. 또 다른 일각에서는 “(비례대표 당선이) 확실한 번호표를 보장받지 못해 (은행을) 박차고 나가지 못한 것 아니냐”고 해석합니다.

속사정이야 어떻든 기업은행은 “CEO 리스크가 걷혔다”며 안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얘기가 벌써부터 나와 기업은행을 또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4·13 총선이 끝나면 공기업 수장 물갈이가 다시 시도될 수 있다는 거지요. 총선이 끝나면 매번 낙선자에 대한 ‘보은 인사’가 단행된 것을 겨냥한 얘기입니다. 기업은행뿐 아니라 임기를 1년 안팎 남겨 둔 공공기관장들의 ‘불면의 밤’이 시작된 셈입니다. 그런 비정상의 되풀이는 이제 고리를 끊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6-03-15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