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협회 ‘낙하산’ 슬금슬금 부활?

보험협회 ‘낙하산’ 슬금슬금 부활?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03-22 22:40
업데이트 2016-03-24 19: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명보험·손해보험협회 전무에 금융위 인사·금감원 출신 내정설

보험협회 고위 임원 인사가 ‘도로아미타불’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세월호 사건 이후 정부의 ‘관피아’(관료+마피아) 엄단 의지에 따라 금융 관련 협회가 금융위원회나 금융감독원 출신들로 채워 온 부회장 자리를 없앴지만 1년여 만에 뒤집힐 가능성이 커져서다.

당초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는 ‘낙하산’들이 갈 만한 자리를 아예 없애는 대신 전무 자리를 만들어 내부 출신이나 업계 전문가를 앉히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하지만 새로 생길 전무 자리가 1년 넘게 공석이 되면서 ‘당국이 미련을 못 버렸다’는 등 이런저런 뒷말이 무성했다.

특히 최근 생보협 전무에 현 금융위 과장인 S(3급)씨가, 손보협 전무에는 S 전 금감원 국장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금융위와 금감원이 서로 한 자리씩 ‘밀어주기로 했다’는 얘기까지 금융권에 나도는 상황이다.

보험협회 관계자는 “금감원 고위 임원이 협회 임원을 불러 ‘(전무 인사와 관련해) 언론플레이 하지 마라’며 입단속까지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협회행 얘기가 나도는 두 사람은 공교롭게 모두 현직에 있을 때 보험 관련 업무를 맡았다. S 전 국장은 보험감독원 출신이고, 생보협행이 거론되는 S 과장도 과거 보험 업무를 다뤘다. 따라서 S 과장이 옮겨 가려면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취업 승인 심사를 거쳐야 한다. S 전 국장은 재취업 제한 기간이 2년에서 3년으로 강화된 공직자윤리법 개정 이전에 그만둔 데다 이미 퇴직한 지 2년도 지나 심사를 따로 받을 필요는 없다.

금융 당국은 펄쩍 뛴다. 금감원 관계자는 “협회 인사는 협회가 알아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곤혹스러운 분위기가 역력하다. 한 협회 직원은 “지난 1년 동안 인사가 꽉 막혀 있었는데 결국 결론은 낙하산이냐”며 허탈해했다. 한쪽에서는 “어차피 (낙하산이) 올 거면 (금융을 잘 모르는 정치인 출신의) 정피아보다는 관피아가 낫다”는 자조도 나온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내정설이 나도는 인사들이) 전문성과 노하우를 갖췄으니 문제 될 게 없다고 할지 모르지만 금융 당국 스스로 낙하산 고리를 끊겠다며 비워 뒀던 자리를 슬그머니 제 식구로 채운다면 당국의 권위가 제대로 서겠느냐”고 반문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3-23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