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돌직구

[경제 블로그]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돌직구

이유미 기자
입력 2016-03-22 22:40
업데이트 2016-03-23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드론·현금서비스 한도 증액 권유할 수 있게 해 달라”

업계 위기에 여신협 압박 선봉…당국 “신용 대란 잊었나” 냉담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최근 “고객에게 카드 한도 증액을 권유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돌직구’를 날렸습니다. 매달 둘째주 화요일 열리는 카드사 사장단 ‘이화회’ 모임에서입니다. 금융 당국에 이런 건의를 해 달라고 여신금융협회에 대놓고 압박을 가한 것이지요.

카드업계에서 이런 ‘소신 발언’을 할 수 있는 최고경영자(CEO)는 거의 드뭅니다. 정 부회장은 카드사 CEO 중 최고참입니다. 2003년 10월부터 10년 넘게 그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거기다 오너 경영인입니다. 2~3년에 한 번씩 바뀌는 전문 경영인들과는 시쳇말로 ‘급’이 다른 셈입니다. 때로는 이런 차이가 구설을 낳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번만큼은 카드업계가 정 부회장의 발언에 깊이 동조하는 분위기입니다. “5년쯤 뒤에 카드업 자체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과장 섞인 하소연이 나올 정도로 업계가 느끼는 위기의식은 심각합니다. 올해부터 카드사 가맹점 수수료가 큰 폭으로 내려갔습니다. 이로 인해 연간 수수료 수입 6700억원이 사라지게 될 전망입니다.

앞서 2012년 말에도 신(新)가맹점 수수료 체계가 도입돼 수수료가 한 차례 내려갔습니다.

먹거리가 절실한 카드업계 눈에 들어온 것이 바로 카드 한도 증액입니다. 고객이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로 빌려 가는 한도를 늘려 놓으면 수수료 손실을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을 것이란 계산입니다. 그런데 카드사는 2012년 10월 여신전문금융업법이 개정되면서부터 고객에게 한도 증액을 권유할 수 없습니다. 카드사 간 과당경쟁과 가계부채 증가를 우려해서죠. 카드사들은 ‘역차별’이라고 항변합니다. “은행이나 인터넷 전문은행도 중금리 대출에 속속 뛰어들며 고객을 빼앗아 가고 있는데 왜 카드사에만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느냐”는 것이지요.

금융 당국은 2000년대 신용대란을 초래했던 ‘카드사태’가 아직도 생생하다며 냉담한 반응입니다. 대출 자산을 늘려 ‘곳간’을 지키는 것은 당장 입에 달지는 몰라도 그 대가가 혹독할 수 있습니다. 위기를 기회로 삼아 새로운 사업 모델을 개척하려는 노력이 더 절실해 보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6-03-23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