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받기 여전히 까다로울 듯…신용위험 증가 전망(종합)

대출받기 여전히 까다로울 듯…신용위험 증가 전망(종합)

입력 2016-04-05 14:23
업데이트 2016-04-05 1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은행 등 금융사 대출심사 강화 기조

올해 2분기에도 은행을 비롯한 금융회사가 가계와 기업에 대한 대출심사를 엄격히 할 것으로 보인다.

또 금융사들은 가계와 기업의 신용위험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국내은행이 전망한 대출태도지수는 -12로 나타났다.

대출태도지수가 음(-)이면 금리나 만기연장 조건 등의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회사가 완화하겠다는 회사보다 많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월29∼3월11일 국내은행 15개, 상호저축은행 14개, 신용카드사 8개, 생명보험회사 5개, 상호금융조합 130개 등 172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올해 1분기 국내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14로 2008년 4분기(-23)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국내은행의 대출태도는 대기업에 대한 강화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가 다소 강화될 것”이라며 “가계에 대해서는 주택대출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의 강화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은행의 대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올해 2분기 -13으로 전분기(-16)보다 3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9로 전분기(-6)보다 떨어졌다.

가계주택자금은 -19로 1분기와 같은 수준이고 가계일반자금(-3)은 전분기(-9)보다 6포인트 올랐다.

지난 2월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행되면서 대출심사가 강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비은행금융기관에서는 생명보험회사, 상호금융조합을 중심으로 대출심사가 강화될 전망이다.

상호금융조합의 대출태도지수는 올해 1분기 -14에서 2분기 -22로 떨어졌고 생명보험회사도 -10에서 -20으로 급락했다.

올해 2분기 상호저축은행과 신용카드사의 대출태도지수는 각각 4와 6으로 전분기와 같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또 국내은행이 예상한 차주의 신용위험지수는 30으로 올해 1분기(24)보다 6포인트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 신용위험지수는 19로 1분기(16)보다 3포인트 상승했고 중소기업은 28에서 31로, 가계는 22에서 28로 각각 올랐다.

기업 신용은 중국의 경기 둔화에 따른 수익성 부진과 경기 회복세 지연 등으로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가계는 부채 증가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 부동산 시장 둔화로 인한 담보가치 하락 가능성 등으로 신용위험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상호저축은행도 차주의 신용위험지수가 올해 1분기 7에서 2분기 14로 뛸 것으로 봤다. 신용카드사(13→19)와 상호금융조합(18→29)도 신용리스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밖에 은행이 전망한 대출수요를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증가세를 이어가지만, 가계는 주택시장 불확실성 등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