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크라우드펀딩 성공기업 코넥스 특례상장”

임종룡 “크라우드펀딩 성공기업 코넥스 특례상장”

입력 2016-05-04 10:02
업데이트 2016-05-04 1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4일 “일정 금액 이상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한 기업은 코넥스시장에 상장할 때 일부 요건을 유예하는 특례 상장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이날 증권형(지분참여형) 크라우드펀딩 출범 100일을 맞아 서울 중구 문화창조벤처단지에서 마련한 업계 관계자들과의 현장 간담회에서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더 많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일정 금액 이상 크라우드펀딩 자금을 유치한 기업은 코넥스에 상장할 때 지정 자문인 선임을 유예하는 특례 상장 요건을 마련할 방침이다.

임 위원장은 “1월 25일 크라우드펀딩 제도가 출범한 이후 100일간 다수의 성공 기업이 나왔고 일부 기업은 수출 계약도 이뤄내는 등 의미 있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크라우드펀딩은 투자 자금에 목말라 있던 신생 창업기업에 오아시스와 같은 역할을 해 줬다”고 평가했다.

임 위원장은 이어 “크라우드펀딩 성공 기업에 대한 후속 지원에도 힘쓰겠다”며 “창업기업이 ‘죽음의 계곡’을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 단계별로 성장사다리펀드, 모태펀드, IBK매칭투자조합 등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크라우드펀딩의 특성을 살리기에 가장 적합한 분야 중 하나가 투자 아이템을 대중이 이해하기 쉽고 자금 회수도 빠른 문화 콘텐츠”라며 “앞으로 크라우드펀딩이 문화 분야의 대표적 자금 조달 수단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100억원 규모의 문화콘텐츠 마중물 펀드를 통해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