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난 시민의식, 가정의달 ‘임시공휴일’ 고속도로 사망사고 제로

빛난 시민의식, 가정의달 ‘임시공휴일’ 고속도로 사망사고 제로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6-05-09 09:01
업데이트 2016-05-09 09: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린이날 고속도로 교통사고 단 한 건도 없어

 ‘가정의 달’을 맞아 시행된 황금연휴 기간 내 임시공휴일(6일) 고속도로 교통 사망사고가 제로로 나타났다. 특히 어린이날(5일)에는 단 한 건의 고속도로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등 빛나는 시민의식 속에 행복한 나들이가 이어졌다.

 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 등에 따르면 어린이날과 임시공휴일 당일 고속도로 교통건수는 단 2건으로 사망자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양일간 고속도로 이용차량은 5일 456만대, 6일 494만대 등 총 950만대였다. 임시공휴일은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돼 국도 대신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나들이객들이 많았다. 지난해 광복 70주년을 맞아 시행된 8월 14일 임시공휴일(교통량 518만대)에서는 당일 교통사고건수 8건에 사망자 1명이 나왔다. 지난해 5월 연휴 최대 교통량을 기록했던 2일과 23일에는 각각 교통사고 8건, 9건(사망자 1명)이 나왔다. 이번 연휴기간(5~8일)에는 모두 1900만대의 차량이 고속도로를 이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일평 국토부 도로국장은 “교통사망사고에는 졸음과 과속이 치명적인데 이번에는 연휴가 길어 교통량이 분산돼 비교적 여유 있게 차량이 이동했다”며 “경찰청 단속도 영향을 미쳤겠지만 예전보다 안전에 대한 시민의식이 한층 성숙했다”고 분석했다.

실제 차가 가장 막혔던 시간대의 정체거리는 269㎞로 지난해 5월 최대 교통량을 세웠던 23일(361㎞)보다 25% 줄었다. 주요 도시간 최대 소요시간도 서울-강릉 5시간 30분에서 3시간 50분 등 서울-부산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대폭 감소했다. 임시 갓길 운영과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등 정부의 특별교통대책과 시민들의 협조도 주효했다.

 그러나 사망자가 없지는 않았다. 두 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던 지난 7일 오전 중앙고속도로에서는 부산행으로 가던 승용차가 고속도로에서 급하게 차선을 변경하다 시설물과 충돌해 운전자가 숨졌다. 황금연휴 나흘간 고속도로 교통사고건수는 이날 오후 3시 기준 4건, 사망자 한 명이다.

 한편 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와 11개 민자고속도로에서 이번에 면제된 통행료 면제액은 각각 143억원, 43억원으로 모두 186억원이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