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감염병 대응’ 우리나라 현주소는?…“여전히 허점”

‘신종감염병 대응’ 우리나라 현주소는?…“여전히 허점”

입력 2016-05-16 16:53
업데이트 2016-05-16 16: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싱가포르, 일본은 차별화된 대응책 마련에 성공 한국은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등 세부 사안 보강 필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지카 바이러스와 같은 신종감염병이 지구촌을 위협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 우리나라는 체계적 대응책 마련에 한발 뒤쳐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같은 아시아권 국가인 싱가포르, 일본의 신종감염병 대처 상황과 비교했을 때 전문가 양성 등 구체적인 사안에서 여전히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서남의대 명지병원은 1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감염관리 및 위기대응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명지병원이 민간병원 최초로 감염관리 및 위기대응 연구소를 운영하게 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싱가포르 탄톡셍 국립병원 브렌다 앙(Brenda Ang) 교수와 일본 도쿄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사토시 쿠수나(Satoshi Kutsuna) 교수는 자국의 신종감염병 대응 체계를 소개했다.

먼저 브렌다 앙 교수는 “신종감염병은 앞으로도 계속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과거 사례에서 대응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이후 싱가포르의 의료 시스템 발전상을 발표했다.

당시 싱가포르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신종감염병에 대한 대비책이 전무했다. 잠복기, 증상, 전파경로 등 사스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보건부와 의료계가 추가감염 방지를 위한 기본적인 사항부터 갖춰나가기 시작했다.

그 결과, 현재 싱가포르는 신종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환자 이동 경로, 사용한 보호장비 처리 방법, 사망자 처리 등에 필요한 관련 매뉴얼을 운영하고 있고, 메르스의 경우 현재 단 1명의 감염자도 발생하지 않았다.

2015년 6월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는 “메르스가 싱가포르에서 발병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며 상시 준비 태세를 강조하며, 전 세계 메르스 감염 상황을 예의주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브렌다 앙 교수는 “신종감염병은 항상 대비해야 하고, 새롭게 개발된 기술을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며 “미생물 전문의 등 감염병 관리 전문가도 사스 이후 2배 이상 확보했다”고 말했다.

또 일본은 감염병을 위험성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해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에볼라 바이러스는 1군, 메르스, 사스는 2군, 콜레라는 3군,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는 4군 감염병에 포함됐다.

이 중 1군 감염병은 의료진이 신발 보호구, 이중 장갑 등 보호장비를 전부 착용한 상태에서 진료해야 한다.

사토시 쿠수나 교수는 “국제공항과 인접한 곳에 신종감염병 대응 의료기관을 운영해 외국에서 들어오는 국민의 검역을 철저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검역 법령에 따라 여행객은 감염병 증상이 있으면 최대 21일까지 격리가 되고, 1일 2회 측정을 통해 추가감염을 원천봉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도 감염병 관리 전문가 확보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일본에는 약 400명의 감염내과 전문의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최첨단 검사장비를 이용해 신종감염병을 신속·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관련 의료 시스템을 가동 중이다.

사토시 쿠수나 교수는 “감염병은 의사뿐만 아니라 간호사의 역할도 중요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싱가포르, 일본보다 우리나라는 아직 신종감염병 대응에 갈 길이 멀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재갑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해 메르스 유행 이후 우리나라는 감염관리 체계, 의료 시스템 개편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며 “정부 주도 아래 인프라 구축, 인력 구성의 기본적인 틀은 확정됐지만,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구체적인 운영안은 더욱 보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200명 수준에 불과한 감염병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 특유의 병문안 문화 개선에 대한 대책도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