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연봉제 칼끝, 官서 民으로

성과연봉제 칼끝, 官서 民으로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6-06-02 10:28
업데이트 2016-06-02 14: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종룡 “전 금융권 확산돼야” 공개주문, 금융사들 “올것이 왔다” 술렁술렁

이미지 확대
성과연봉제 칼끝이 KB국민은행 등 민간 금융사로 향하고 있다
성과연봉제 칼끝이 KB국민은행 등 민간 금융사로 향하고 있다
성과연봉제의 칼 끝이 관(官)에서 민(民)으로 옮겨가고 있다. 금융사들은 “올 것이 왔다”며 술렁거리고 있다. 성과연봉제 필요성 자체에는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만 도입에 필요한 ‘기초환경’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밀어붙이기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차 금융 공공기관장 간담회에서 “이미 성과연봉제를 도입한 금융 공공기관을 모델로 전(全) 금융권이 절박감을 갖고 성과연봉제 도입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정부 산하 9개 금융 공공기관은 지난달 30일까지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을 마쳤다. 이에 따라 기본급 인상률 차등 대상이 기존 부서장에서 책임자 직급까지 확대되고, 차등 폭도 기존 2% 포인트에서 3% 포인트로 커졌다.

임 위원장은 “급변한 금융권 환경과 우리 경쟁력을 감안할 때 현재의 연공서열, 획일적 평가, 현실 안주와 보신주의의 낡은 관행을 개혁하지 않으면 우리 금융에 미래는 없다”며 전 금융권의 성과연봉제 도입을 강조했다. 이어 “금융 공공기관들이 진통 끝에 성과연봉제를 도입한 만큼 이를 모델로 해 전 금융권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며 “노사가 생존을 위해 피할 수 없다는 절박감을 갖고 성과연봉제 도입을 위한 협의를 조속히 해나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국거래소, 코스콤, 증권금융, 금융결제원 등 금융 유관기관은 성과보수 비중, 호봉제 여부 등 보수 체계가 현행 금융 공공기관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특히 금융 유관기관들이 보다 진지한 태도로 성과연봉제 문제를 논의해달라”고 주문했다. 금융 유관기관도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라는 우회적 압박으로 풀이된다.

금융위는 민간에도 성과연봉제를 확산시켜야 하는 근거로 국내 금융사들의 임금 대비 낮은 생산성을 들었다. 보스턴컨설팅그룹 조사 결과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금융권 임금 비율은 2014년 기준으로 영국 1.83%, 독일 1.70%, 일본 1.46%, 미국 1.01% 등이다. 우리나라는 2.03%다.

이미지 확대
한-불 핀테크 세미나 참석한 임종룡
한-불 핀테크 세미나 참석한 임종룡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30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한불 상호교류의 해를 맞이해 열린 ’한-불 핀테크 세미나’에서 주한 프랑스 대사의 인사말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반해 2010∼2014년 전체은행 영업이익은 연평균 4% 감소했는데도 인건비 등 판매관리비는 3% 올랐다.

금융위 측은 “해외 금융선진국은 개인평가를 통한 보수 차등이 일반화돼 있다”며 “주요 글로벌 은행은 호봉제가 없고 동일 직급이라도 직무에 따라 총연봉이 1.5배에서 최대 9배까지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 금융사들은 선진국들은 성과 평가 체계가 비교적 발달돼 있다고 항변한다. 우리나라는 아직 업무 특성별 평가 체계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성과연봉제 도입에 국내 금융사 직원들이 반발하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

이를 의식한 듯 임 위원장은 “성과중심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있어 성공의 핵심은 직원평가 제도의 공정성과 수용성”이라며 공정하면서 객관적이고 투명한 평가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성과 연봉제로 불완전 판매, 과당 경쟁, 줄서기 문화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이는 성과연봉제의 문제가 아니라 평가 방식을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좌우된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