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도는데 비싼 우유… 8월에 값 내리나

남아도는데 비싼 우유… 8월에 값 내리나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6-06-29 18:12
업데이트 2016-06-30 0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유값 2년 만에 ℓ당 18원 인하” 분유 재고 1만7000t… 적정의 2배

원유 1.9% 내려도 우유업체 미적

“인건비·유통비 반영 땐 시기상조”

남아도는데도 여전히 비싼 우유, 8월부터는 값이 내릴까.

우유 원료인 원유(原乳) 가격이 2년 만에 내렸다. 이에 따라 우유와 치즈 등 유가공품의 소비자 가격도 내릴지에 관심이 쏠린다.

낙농진흥회는 지난 28일 열린 이사회에서 올해 유가공 업체들이 농가에서 사들이는 원유 기본가격을 전년(ℓ당 940원)보다 18원 내린 ℓ당 922원으로 결정했다고 29일 밝혔다. 내린 가격은 올 8월 1일부터 내년 7월 31일까지 1년간 적용된다.

원유 가격이 내린 건 2013년 원유가격 연동제가 도입된 이후 처음이다. 연동제는 과거 낙농가와 유가공 업계가 가격 협상 과정에서 벌인 대립을 막기 위해 매년 우유 생산비 증감분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원유가격을 결정한 제도다. 시행 첫해 원유 가격이 ℓ당 834원에서 940원으로 올랐고 2014년과 지난해는 동결됐다.

올해는 소비자 물가 상승 등 인상 요인이 일부 있지만 우유 생산비가 줄어 가격이 내렸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15년 우유생산비 조사 결과’를 보면 우유 생산비는 2014년 ℓ당 796원에서 지난해 763원으로 33원 줄었다. 우유 소비가 정체된 것도 고려됐다.

지난달 말 기준 유가공 업체가 쓰고 남은 원유를 보관 목적으로 말린 분유 재고량은 1만 7086t이다. 지난해 같은 달(2만 1944t)보다는 줄었지만 적정 재고량(8000t)보다 2배 이상 많다. 수입 유제품 소비는 매년 늘고 있다.

가격이 내려야 하는 상황이지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집계한 28일 기준 우유 1ℓ 평균 소매 가격은 평년보다 6.8% 비싼 2549원이다. 원유 가격이 내렸으니 소비자 가격 인하에 대한 기대가 큰 이유다.

반면 인하 폭이 1.9%에 불과하고 가격을 한 번 올리면 내리기 쉽지 않아 일반인들이 체감할 만큼의 가격 인하 효과는 어려울 전망이다. 제조 업체들도 소극적이다.

한 유업체 관계자는 “우유 제품 가격에는 원유 가격뿐 아니라 인건비와 유통비 등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가격 인하를 얘기하는 건 아직 시기상조인 것 같다”고 말을 아꼈다. 다른 유업체 관계자도 “수입산과 비교하면 여전히 원유 가격은 비싼 편”이라면서 “원유 값의 인하 폭 자체도 작아 소비자 가격 인하보다는 동결 쪽으로 기울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6-06-30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