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휴가 평균 4.4일…작년보다 0.3일 늘어

올해 여름휴가 평균 4.4일…작년보다 0.3일 늘어

입력 2016-07-10 11:08
업데이트 2016-07-10 1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총, 529개 기업 조사…응답기업 66.7% 휴가비 지급

우리나라 기업들이 계획한 올해 여름 휴가 일수는 평균 4.4일로 지난해(4.1일)보다 0.3일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5인 이상 529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16년 하계휴가 실태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평균 여름 휴가 일수는 4.4일이지만 주말 등을 포함하면 실제 휴가 일수는 약 6∼8일 정도가 될 것으로 경총은 예상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은 4.8일, 300인 미만 기업은 4.3일로 나타나 작년보다 각각 0.2일, 0.4일 늘어났다.

2004년 주 40시간제 도입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이던 여름 휴가 일수는 올해가 4.4일로 2009년 이후 가장 긴 것이라고 경총은 설명했다.

여름휴가 부여 일수가 작년보다 늘어난 기업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근로자 복지 확대’(41.1%)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고, ‘경제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생산량 감축’(32.1%), ‘연차수당 등 비용절감 차원’(21.4%)이 뒤를 이었다.

여름휴가 실시 계획이 있는 기업 가운데 휴가비 지급 예정인 기업은 66.7%로 지난해(70.1%)보다 3.4%포인트 감소했다.

기업규모와 관계없이 여름휴가비를 지급할 계획이 있는 기업의 비율이 지난해보다 감소했으며, 감소폭은 300인 이상 기업보다 300인 미만 기업이 더 컸다.

휴가비를 지급하는 기업의 평균 휴가비는 59만1천원으로 지난해 62만2천원보다 3만1천원 줄었다.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은 65만8천원, 300인 미만 기업은 57만9천원을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휴가 시기는 8월 초에 가장 집중될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휴가 실시 기업 중 52%가 8월 초에 실시한다고 응답했고, 7월 말(25.6%), 8월 중순(7.5%) 순이었다.

여름휴가를 실시할 계획이 있는 기업은 전체 기업의 93.5%였으며 미실시기업은 6.5%였다. 여름휴가 활용 방식은 별도휴가 부여 74.8%, 연차휴가 활용 25.2%였다.

한편 기업들의 67%는 최근 경기상황에 대해 ‘전년보다 악화됐다’고 응답했으며 ‘전년과 비슷하다’(29.0%), ‘개선됐다’(3.9%), ‘매우 개선됐다’(0.2%) 순이었다.

국내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시기를 조사한 결과 ‘2018년 하반기 이후’라는 응답이 41.6%로 가장 많았고 ‘향후 1년 이내 회복’이라는 응답은 26.0%에 그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