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우려속 저비용항공사 에어서울 취항

기대·우려속 저비용항공사 에어서울 취항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7-10 22:20
업데이트 2016-07-10 2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시아나 두 번째 LCC 오늘 출범…선택폭 커졌지만 안전 시스템 과제

아시아나항공이 세운 두 번째 저비용항공사(LCC)인 에어서울이 11일 출범한다. 2005년 8월 한성항공(현 티웨이항공)이 청주~제주 노선에 취항하면서 LCC 시대를 연 뒤로 11년 만에 여섯 번째 저비용항공사의 등장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양대 대형 항공사 시절보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항공 운임이 싸지고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잊을 만하면 발생하는 안전 문제가 LCC 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 비상 사태 때 확연히 드러난 주먹구구식 운영도 해결 과제로 남아 있다.

10일 항공 업계에 따르면 에어서울은 김포~제주 노선에 첫 취항을 한다. 에어서울의 자본금은 150억원이다. 국제운송사업 면허 기준인 항공기 3대, 자본금 150억원 규정 중 자본금 요건은 충족했다. 항공기 3대 요건을 갖추면 국제선 운항도 할 계획이다. 에어서울은 오는 10월부터는 중국, 일본, 동남아 노선에도 비행기를 띄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국내선 운항은 항공기 1대만 있어도 가능하다.

한국공항공사와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11년 동안 LCC를 이용한 승객수는 1억 1479만명(누적 기준)이다. 특히 국내선 점유율은 56.1%(5월 기준)로 대형 항공사를 앞질렀다. 국제선 점유율도 17.5%로 지난해보다 40.4% 증가했다. LCC 중에서는 애경그룹의 제주항공이 3431만명의 누적 승객을 태워 1위를 달리고 있다. 이어 아시아나항공 자회사인 에어부산과 대한항공 계열의 진에어가 각각 2425만명, 2250만명으로 2~3위를 다툰다. 에어서울이 합류하면서 LCC 업계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안전 확보와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은 LCC 업계가 풀어야 할 숙제다. 올 초 잇따른 안전 사고로 LCC에 대한 시선은 싸늘하기만 하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LCC와 경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정비 역량을 늘리고 체계적인 시스템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7-11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