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곰팡이’…식품 이물질신고 여름에 집중

‘벌레·곰팡이’…식품 이물질신고 여름에 집중

입력 2016-07-13 09:18
업데이트 2016-07-13 09: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식약처 “어둡고 습한 장소에 식품 보관하지 말아야”

기온과 습도가 올라가는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식품에서 이물질이 나왔다는 신고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더운 여름에는 식품에 벌레, 곰팡이 등이 쉽게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1∼2015년에 접수된 ‘이물’ 신고 3만2천902건을 분석한 결과 7월 이후 신고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13일 밝혔다.

벌레가 나왔다는 신고 1만2천343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6천5건(48.7%)은 8∼11월에 몰렸다.

같은 기간 곰팡이 이물 신고는 3천182건이 접수됐으며, 이 가운데 1천469건(46.2%)이 7월부터 10월에 집중됐다.

벌레 이물질은 라면 등 면류(2천791건·22.6%), 커피(1천893건·15.3%), 시리얼(1천118건·9.1%), 과자(1천62건·8.6%) 등에서 많이 발견됐다.

일명 쌀벌레로 불리는 화랑곡나방은 어두운 벽면이나 골판지 박스 틈새에 많이 서식한다. 이 벌레의 유충은 포장지를 뚫고 제품 내로 침입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식품에 벌레가 들어가는 일을 막으려면, 되도록 식품을 어둡고 습한 장소에 보관하지 말고,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은 즉시 폐기해야 한다.

시리얼처럼 여러 번 나눠 먹는 제품은 단단하게 밀봉하거나 밀폐용기에 담아 바닥에서 떨어진 곳에 보관해야 한다.

택배 등의 골판지 포장 박스는 벌레가 살기 좋은 환경이 될 수 있으므로 택배를 받자마자 박스를 버리는 것이 좋다.

곰팡이는 음료류(706건·22.2%), 빵·떡류(535건·16.8%), 면류(282건·8.9%), 즉석조리식품(275건·8.6%) 등에서 많이 발견됐다.

곰팡이는 유통 중에 포장이 찢어진 경우, 또는 개봉한 냉동·냉장제품을 실온에서 방치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음료나 빵은 곰팡이가 생기기 쉬우므로 되도록 빨리 섭취해야 한다.

떡·면·즉석밥 등은 포장이 찢어지거나 구멍 나지 않았는지 살펴보고 사야 한다. 먹고 남은 제품은 공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밀봉해 냉장·냉동 보관해야 한다.

소비자가 식품에서 이물질을 발견하면 부정·불량식품 신고센터(1399)에 신고해달라고 식약처는 당부했다. 또 정확한 조사를 위해 신고 제품과 해당 이물질을 조사 공무원에게 인계해달라고 식약처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