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임차가구 주거급여 상한 최대 9천원 올라

내년 임차가구 주거급여 상한 최대 9천원 올라

입력 2016-07-13 13:32
업데이트 2016-07-13 1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차가구에 지급되는 주거급여 상한액이 내년부터 최대 9천원 오른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3년 평균 주택임차료 상승률을 반영해 내년 임차가구 주거급여 기준임대료를 올해보다 2.45% 올린다고 13일 밝혔다.

액수로는 기준임대료를 지역과 가구원 수에 따라 3천∼9천원 인상하는 것이다.

소득이 중위소득의 43% 이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을 충족하면 지급되는 주거급여는 임차가구의 경우, 거주지역과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 정해진 기준임대료를 상한으로 실제 집주인한테 내는 임차료만큼 지원된다.

가령 1급지인 서울에 살면서 가구원이 4명인 주거급여 수급가구는 월세를 40만원씩 내더라도 주거급여는 30만7천원만 받는다. 해당가구의 기준임대료(올해)가 30만7천원이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집을 가진 주거급여 수급가구에 주택노후도에 따라 수선비용으로 지급하는 주거급여액(350만∼950만원)은 이번에 올리지 않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자가가구 주거급여도 인상해 현실화하는 방안을 연구용역으로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4인가구)을 월 446만7천380원으로 1.73% 올리면서 주거급여가 지급되는 소득기준도 상향됐다.

올해는 4인가구를 기준으로 월 소득이 188만8천317원 이하여야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지만, 내년부터는 월 소득이 192만973원 이하면 주거급여 지급대상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