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최대전력 첫 8천만㎾ 돌파예상…예비율은 충분”

“여름 최대전력 첫 8천만㎾ 돌파예상…예비율은 충분”

입력 2016-07-14 11:07
업데이트 2016-07-14 15: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크시에도 예비율 13% 유지 가능…공급능력도 250만㎾ 늘어산업부 여름철 전력수급 전망·대책 발표

올해 여름에는 전력수요가 크게 늘어 최대전력이 여름철 사상 처음으로 8천만㎾를 넘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지 확대
전력 수급 현황 예의주시
전력 수급 현황 예의주시 14일 수원 한국전력공사 경기지역본부 전력관리처 경기계통운영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전력 수급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
계속된 폭염 등으로 여름철 전력수요가 폭증하면서 최근 전력예비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기도 했다.
연합뉴스
다만 신규 발전기 준공 등으로 전력공급도 250만㎾ 증가해 피크 시에도 예비율은 12.7%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이 같은 내용의 ‘여름철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을 발표하면서 “이상기온, 대형발전소 불시정지, 송전선로 이상 등 만일의 사태에 차질이 없도록 수급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올여름 최대전력수요는 8천170만㎾ 수준으로 여름철 최대전력으로는 처음으로 8천만㎾를 돌파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본적인 전력수요가 증가하는 데다 8월에는 기온도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여름 최대전력수요는 지난 11일 7천820만㎾를 기록해 종전 기록을 경신한 바 있다. 11일에는 최근 2년 만에 처음으로 예비율이 한 자릿수인 9.3%(예비력 728만㎾)로 떨어졌다.

지난달에도 최대전력이 7천282만kW를 기록해 6월 최대전력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산업부는 폭염 등 이상기온으로 냉방수요가 급증하면 올해 여름철 최대전력이 8천370만㎾까지도 오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겨울에도 당초 예상과 달리 1월 일시적인 이상한파로 전력사용이 폭증한 일이 있었다. 이 때문에 지난 1월21일에는 최대전력수요가 8천297만kW를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다만 올해 여름에는 피크 시에도 예비율 12.7%선을 지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신규 발전소 4기 등이 준공되면서 전력공급이 작년보다 250만㎾ 증가해 최대전력공급이 9천210만㎾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돌발상황이 없으면 예비력 1천40만㎾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하지만 이상기온 등으로 최대전력이 8천370만㎾까지 증가하면 예비력은 840만㎾(예비율 10.0%)로 하락할 수 있어 예의주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예비력이 500만㎾ 미만으로 떨어지면 전력수급 비상경보가 발령된다. 예비력에 따라 관심(400만㎾ 이하), 주의(300만㎾ 이하), 경계(200만㎾ 이하), 심각(100만㎾ 이하) 순으로 구분된다.

산업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비상계획을 마련했다.

예비력이 떨어져 전력수급 비상경보 단계까지 상황이 악화하지 않도록 긴급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확보할 방침이다. 석탄화력발전기 출력향상(49만㎾), 하반기 준공 예정인 발전기 시운전 출력 활용(42만㎾), 수요자원 거래시장에 참여한 사업자 관리(327만㎾) 등을 통해 418만㎾의 가용자원을 비상시에 동원할 계획이다.

상황이 더욱 나빠져 위기경보가 발령될 때를 대비한 비상단계별 대책도 준비했다.

준비·관심 단계에는 민간자가발전기 가동, 전압 하향조정, 공공부문 비상발전기 가동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주의·경계 단계에는 긴급 절전 수요 감축 등을 시행할 계획이다. 이렇게 확보할 수 있는 전력은 추가 252만㎾ 규모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시민단체 등과 함께 절전 캠페인을 벌여 나가기로 했다. 26℃ 이상의 적정 냉방온도 권장, 문을 열고 영업하는 행위 자제 요청, 에너지 절전 행동 요령 전파 등을 통해 시민이 자율적으로 에너지를 줄여나갈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다만 공공기관은 관련 규정에 따라 실내 냉방온도 28℃ 이상을 원칙으로 하되 건물 냉방방식, 기관 특성 등을 고려해 2℃ 이내에서 탄력적으로 운영하게 할 계획”이라며 “학교, 도서관, 어린이집, 대중교통시설, 문화체육시설 등은 자체적으로 적정 실내온도를 설정해서 운영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