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이어 SK도… 반바지 허하노니 생산성 높여라

삼성 이어 SK도… 반바지 허하노니 생산성 높여라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7-21 21:18
업데이트 2016-07-21 2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장 때문에 점유율 떨어집니까”…정철길 SK이노 부회장 추진

삼성전자 상당수 “아직은 어색”
“창의성과 비례 안해” 반론도


삼성전자에 이어 SK이노베이션도 여름철 반바지 차림의 근무를 허용했다. 전자·정보기술(IT) 업계에서 불기 시작한 복장 자율화 바람이 보수적 기업 문화로 대변되는 ‘굴뚝’ 산업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불필요한 관습이 구성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떨어뜨린다고 보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 ‘복장 파괴’를 추진하는 것이다. 다만 복장 자율화가 업무 몰입도를 얼마나 끌어올릴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린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이달 초 라운드 티셔츠와 반바지를 업무용 복장으로 공식 인정했다. 정유·에너지 업계에서 반바지 허용은 처음이다. 유공(SK이노베이션 전신) 시절 검은색 양복만 고수했던 회사가 반바지 문화를 도입하게 된 결정적 배경에는 정철길 부회장의 뜻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 부회장은 지난 5월 말 간부들과의 세미나에서 “반바지를 입고 출근하면 마진이나 시장점유율이 떨어집니까. 한여름에 지하철 타고 출근하려면 (얼마나) 힘든데 반바지 입고 싶은 사람은 입도록 합시다”라고 말했다. “작은 것(반바지, 휴가 등)조차 개개인이 자율적으로 못 하면서 어떻게 혁신을 이룰 수 있겠느냐”는 취지로 받아들여졌다.

현재 복장 파괴에 앞장선 기업은 삼성과 SK 계열이 많다. 삼성전자는 2014년 수원사업장에 한해 주말 반바지 출근을 허용한 뒤 지난달 말 평일로 확대했다. 올해 삼성디스플레이도 합류했다. SK 계열사 중에서는 2011년 SK텔레콤에서 분사한 SK플래닛을 시작으로 SK㈜ C&C(2013년), SK하이닉스(2014년)가 순차적으로 복장 자율화에 나섰다. 김미애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비효율성을 제거해 생산성을 높이려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자율적인 분위기에서 유연한 사고가 가능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반바지와 창의성이 비례하는 것은 아니란 반론도 있다. 네이버, 카카오처럼 설립 때부터 복장 규정 없이 자유롭게 입고 다닐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라면 서로 눈치 보느라 비효율성이 더 커진다는 지적이다. 삼성전자에는 “아직 마음의 준비가 안 됐다”고 말하는 직원들이 상당수다.

‘평판사회’ 저자인 유민영 에이케이스 대표는 “어느 날 갑자기 톱다운 방식으로 문화를 바꾸면 기존 문화와 충돌하면서 ‘갭’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업무 특성에 맞는 복장을 갖출 때 생산성이 높아진다는 주장도 있다. 유효상 숙명여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혁신을 위해 뭔가를 해야 한다는 강박증이 오히려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7-22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