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소환’ 임박한 롯데 “경영차질 없게 최선”

‘신동빈 소환’ 임박한 롯데 “경영차질 없게 최선”

입력 2016-08-25 16:57
업데이트 2016-08-25 16: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그룹 정책본부 황각규 운영실장(사장)이 25일 검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두한데 이어 이인원 정책본부장(부회장)까지 26일 소환될 것으로 발표되자, 서울 소공동 롯데 본사 임직원들은 굳은 표정으로 관련 보도에 눈을 떼지 못한 채 ‘그룹의 운명’을 걱정하고 있다.

예정대로 26일 이 부회장이 소환되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최측근 3인방’은 모두 검찰 조사를 받게 되는 셈이다.

그룹의 대관·홍보를 총괄하는 소진세 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사장)은 이미 지난 광복절 연휴기간 소환조사를 받았다.

이 부회장은 1973년 롯데호텔에 입사한 후 40여년동안 신격호 총괄회장과 신동빈 회장을 보필해온 롯데그룹의 ‘산 역사’다.

아무리 예상된 수순이었다고 해도, 롯데 ‘3인방’에 대한 동시 소환 조사는 롯데 입장에선 큰 충격일 수밖에 없다.

경영 측면에서 ‘막대한 공백’이 예상될 뿐 아니라 신동빈 회장의 소환이 임박했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기때문이다.

재계 일각에선 현재 검찰의 수사 속도로 볼 때 신 회장이 이달 말이나 내달 초 소환되는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롯데 직원은 “그동안 검찰 소환 대상의 직위가 팀장급 실무진, 계열사 전·현직 사장급 등으로 계속 높아져왔기 때문에, 그룹 정책본부 사장급의 소환도 시기만 몰랐을 뿐 예상됐던 상황”이라며 “하지만 불과 1주일여 만에 이렇게 신 회장의 최측근 3명이 잇따라 소환될 만큼 검찰 수사가 속도를 낼지는 몰랐다”고 당황한 표정을 지었다.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수사에 최대한 협조하며 경영과 업무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게 롯데 그룹의 입장이다.

롯데 고위 임원은 “아직 비상경영시스템을 가동할 단계는 아니다”라며 “경영 공백없이 직원들이 안심하고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위임 전결 시스템을 갖추고, 고객이 현장에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최대한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롯데 내부 일각에서는 검찰 수사가 원활하게, 속도를 내는 게 그룹 입장에서 반드시 나쁜 일만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경영 측면에서 가장 큰 악재는 ‘불확실성’인데, 검찰 수사가 빨리 진행돼 시시비비가 일찍 가려질수록 그룹 정상화와 회복도 앞당겨질 수 있다는 기대에서다.

더구나 검찰 수사가 내달 추석 전후로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최대한 빨리 분위기를 수습하고 연말께 예정된 서울 잠실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특허권(영업권) 입찰이나 향후 호텔롯데 상장 재도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검찰 조사 결과, 비리 규모가 매우 크고 그룹 차원의 조직적, 의도적 개입이 드러나 핵심 경영진이 줄줄이 구속될 경우, 그룹의 조기 정상화나 회복은 기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검찰은 신동빈 회장과 최측근 3인방을 상대로 비자금 조성, 계열사 부당지원 등에 따른 배임 여부를 집중적으로 캐물을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케미칼은 2010년부터 3년간 석유화학 원료를 수입하는 과정에 일본 롯데물산을 끼워 넣고, 원료 수입대금의 30~40%를 부풀려 지급하는 방식으로 해외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자동출납기(ATM) 제조·공급업체 롯데피에스넷을 살리기 위해 코리아세븐·롯데닷컴·롯데정보통신 등 계열사가 무리하게 동원됐는지, 롯데건설이 비자금을 조성했고 또 이 돈이 신 회장으로 흘러들어갔는 지도 조사대상이다.

신격호 총괄회장이 사실혼 관계인 서미경(56)씨와 장녀 신영자(74·구속기소) 이사장 등에게 일본 롯데홀딩스 지분 6.2%를 차명으로 넘기는 과정에서 6천억원대의 세금을 탈루했는지에 대한 확인 역시 이뤄질 전망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