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보험료 이렇게 아끼세요

차 보험료 이렇게 아끼세요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6-09-12 16:28
업데이트 2016-09-12 16: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험업계가 자동차보험료를 줄줄이 인상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12일 보험료를 절약하는 팁을 발표했다.

금감원이 꼽은 최고의 절약운전은 ‘안전운전’이다. 자동차보험료는 운전자의 사고경력에 따라 할인·할증등급요율과 사고건수요율(NCR)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보험사별 적용 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사고처리가 많은 가입자의 보험료를 많이 올리고, 무사고자 보험료를 할인해 준다’는 점은 같다. 무사고자는 다음해 자동차보험 갱신 시 보험료가 3~13%가량 할인되고, 무사고 경력을 18년간 유지하면 보험료가 약 70%까지 할인된다. 사고가 나면 부상 정도와 손해 규모, 발생 건수에 따라 이듬해 보험료가 적게는 5%, 많게는 100% 할증된다. 실제 직전 1년간 사고가 3건 이상이면 보험료는 2배로 뛸 수 있다.

교통법규 준수도 같은 맥락이다. 음주나 무면허 등 중대 위반은 물론 신호위반 등 비교적 가벼운 교통법규 위반도 반복되면 보험료가 5∼20% 올라간다.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MB) 시청이나 휴대전화 사용으로 교통사고가 발생할 때는 과실비율이 10% 포인트 가중된다. 반면 교통법규를 잘 지킨 사람은 보험료를 0.3∼0.7% 할인받을 수 있다.

운전자 범위를 신중하게 선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운전자를 ‘가족’에 한정하는 경우의 보험료를 100이라 했을 때, ‘1인’으로 한정하면 보험료가 85.2로 줄어든다. 반면 운전자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누구나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면 보험료는 114.4까지 늘어난다. 각사의 할인 특약을 잘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자동차운행이 많지 않은 가입자는 마일리지특약(주행거리연동자동차보험)이나 요일별 특약 등에 가입하면 연간 주행거리에 따라 보험료를 2~35% 할인받을 수 있다. 금감원 측은 “최초 가입 시 가입경력인정제 활용, 서민우대 대상 여부 확인 등도 보험료를 아끼는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