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팔던 농협, 조선 해운업에 무리하게 투자하더니 …

소 팔던 농협, 조선 해운업에 무리하게 투자하더니 …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10-04 17:10
업데이트 2016-10-04 17: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실로 떼인 돈 1조 2000억 달해

농협은행이 조선·해운업 부실로 떼인 돈이 무려 1조 2000여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정인화 의원이 농협금융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법정관리에 들어간 조선업과 해운업체에 대한 농협은행의 채권 상각 규모는 올해 6월 말 기준 1조 2401억원이다.

상각은 회수가 불가능한 채권이 발생했을 때 해당 금액을 수익에서 차감해 일반 채권에서 삭제하는 것을 말한다.



업체별로는 STX조선이 9156억원으로 가장 많고, 창명해운 2134억원, 성동조선 1111억원 순이다. STX조선과 창명해운은 올해, 성동조선은 2013년에 각각 상각 처리했다.

상각 후에도 법정관리·기업회생 중에 있는 부실채권 규모는 STX조선 3750억원, 성동조선 2723억원, 창명해운 1455억원, 한진해운 761억원, 현대상선 329억원 등 총 9018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정상여신으로 분류된 대우조선해양 채권 1조 2817억원까지 포함하면 전체 부실채권 규모가 2조 1835억원에 이른다.

농협은행은 조선·해운업의 부실로 올해 상반기 1조 3589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한 데 이어 하반기 4000억원을 추가로 적립하는 등 올해 총 1조 7000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쌓을 계획이다.

이에 따라 농협은행은 올해 말 5520억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정 의원은 전했다.

하지만 농협은행은 흑자 전환도 가능하다고 자신한다. 농협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4000억원을 제외하고 충당금을 쌓을 요인이 없어서 연말 소액이라도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