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장사 못해먹겠다’…음식점업 경기, 5년 만에 최악

‘밥장사 못해먹겠다’…음식점업 경기, 5년 만에 최악

입력 2016-11-17 08:16
업데이트 2016-11-17 08: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 둔화가 장기화하고 구조조정 한파까지 몰아닥치면서 식당 경기가 5년 만에 최악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일반 음식점업의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85.2로 2011년 9월 83.9 이후 가장 낮았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매출액 등 서비스업의 생산활동을 지수화한 것이다. 2010년 지수를 100으로 놓고 100보다 높으면 2010년보다 생산활동이 활발해졌음을, 100 미만이면 생산활동이 둔화했음을 의미한다.

일반 음식점업은 한식집, 중식집, 일식집, 뷔페 등 흔히 볼 수 있는 식당을 의미한다.

일반 음식점업의 월별 생산지수는 2010년대 들어 대부분 100 미만을 오르락내리락했다.

2010년대만 놓고 보면 2010년 12월 115.9로 최고치를 찍고서 오름세와 내림세를 반복하며 서서히 하강했다.

지난해 12월 106.0을 기록한 일반 음식점업 생산지수는 올해 들어 월 기준으로 한 번도 100을 넘지 못한 채 대부분 90대에 머물더니 9월 들어 고꾸라졌다.

음식점업이 부진을 면치 못하는 데에는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는 데다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들이 진입 장벽이 낮은 식당 창업에 몰리면서 음식점업이 과잉공급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계청 관계자는 “경기가 좋지 않다 보니 식당을 찾는 손님이 줄어 음식점업 자체가 전반적으로 좋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들어 유달리 음식점업이 어려운 것은 구조조정 영향도 반영됐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불경기이긴 해도 실제 13개 대분류 업종별로 보면 일반 음식점업이 포함된 ‘숙박 및 음식점업’을 제외하고 12개 업종의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대부분 올해 매달 100을 넘겼다.

생산지수가 100을 넘지 않은 달이 있는 업종도 있지만 ‘숙박 및 음식점업’만큼 100 미만이 많은 곳은 없었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음식점업은 한국경제 공급 사슬의 최전방에 있다”며 “조선·철강업 구조조정으로 공장이 문을 닫으면 공장 주변에 있던 음식점들도 함께 문을 닫아 없어지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식당 자영업자들도 구조조정 되는 과정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며 “청탁금지법 영향으로 적용대상이 아닌 사람들도 식사 자리를 줄이고 있어 식당업계가 내년 상반기까진 청탁금지법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